2016년 코피아 아시아 소장단 협의회 개최

Posted by kopia_mongolia
2016. 8. 17. 16:14 알림판/센터 소식

코피아 아시아 소장단 협의회가 지난 728일 몽골 울란바토르(UB) 라마다 호텔에서 개최되었다. 코피아 아시아 소장단의 몽골 방문은 726일부터 29일 까지 진행되어 아시아 각국 센터의 발전 방안에 대하여 심도 있는 논의가 있었다.

 

727일 오전에는 농촌진흥청 라승용 차장님과 국외농업기술과 오경석 과장님 등 총 6명이 코피아 몽골 센터를 방문하여 몽골 농업의 현재 상황과 몽골 센터 현안 등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코피아 몽골 센터 업무 협의

국립몽골농업대학교 바타르 학장 면담 

 

727일 오후에는 국립몽골농업대학을 방문하였다. 축산/생명공학 O.Baatartsogt 학장과 면담을 가졌으며, 실험실을 방문하여 의견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그리고 이번 아시아 소장단 방문의 주된 목적인 아시아 소장단 협의회728일 울란바타르 라마다호텔 크리스탈 회의실에서 개최되었다. 몽골 홍성구 소장님, 베트남 박광근 소장님, 우즈베키스탄 안희성 소장님, 필리핀 이정택 소장님, 미얀마 김대수 소장님, 라오스 조명철 소장님, 캄보디아 방진기 소장님, 태국 우종규 소장님, 스리랑카 최인후 소장님 등 총 9개국의 아시아 소장님들께서 참석하셨으며 아시아 소장단 협의회는 라승용 차장님의 개회사로 시작되었다.

 

 

 

소장단 협의회 기념 촬영

라승용 차장님 인터뷰

 

소장단 협의회는 약 15분의 발표형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각 센터별 우수성과 및 사업 추진 현황을 공유하였다.

특히, 2015년 사업운영 평가 최우수 센터로 선정된 캄보디아센터의 발표가 주목되었다. 농가소득 향상과 자립역량 강화를 위해 추진한 양계 시범사업 조성사업은 옥수수 재배와 육계사양 기술을 전수해 닭 사료비를 23% 절감했고, 닭 폐사율 27%에서 5%로 줄였고 또한, 닭 판매 대금에서 적립한 43천 달러를 자조금으로 모아 영세한 농가의 자립기반을 구축하였다고 한다.

 

 협의회장 라승용 차장님

홍성구 몽골 소장님 

우수상 수상

방진기 캄보디아 소장님 

 

그리고 이후 731일자로 귀국예정이었던 몽골 센터의 이수현, 최도영 연수생이 차장님을 비롯한 많은 분들 앞에서 연수성과 발표회를 가졌다. 이전 718일에 있었던 자체 연수성과 보고회 때보다 보다 나은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참석하신 모든 분들께서도 아낌없는 격려와 칭찬을 해주셨다.

연수생 본인들도 떨리지만 뿌듯하게 보고회를 마무리하였다고 합니다. 자세한 내용 및 본인들의 직접적인 수기는 http://kopiamongolia.tistory.com/92 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충남대학교 이수현 연수생 

전북대학교 최도영 연수생 

 

또한, 이날은 몽골현지의 언론들도 많은 관심을 보이며 몽골국영방송사인 MNB 등 총 10개의 매체에서 12회 보도 되었으며 한국 언론에도 총 7회 보도되었다. 

 

 

729일은 몽골센터 협력 과제인 농업시험 및 훈련농장 모델 조성사업장에 방문하였는데 이곳은 NAEC(National Agriculture Extension Center)가 진행하는 2년차 협력과제 장소로 UB에서 약 100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으며, 올해 채소 품종 적응 시험을 위해 120크기의 비닐하우스가 4동 설치되어 있었다. 지난 616일 파종했던 한국씨앗들이 푸르게 잘 자란 모습을 볼 수 있었고 또한, 현지 적응성 시험 재배를 위해 2.3ha‘Gala’씨감자 2.5t을 파종되어 있었다. 현재 꽃이 피고 씨감자도 함께 성장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어 함께 현장을 보면서 많은 정보를 공유하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후 몽골 센터의 제 1과제 밀 우수품종 종자증식 시범사업 및 품종육성을 담당하는 다르항시의 IPAS(Institute of Plant and Agricultural Science)로 출발하였다. 많은 분들께서 환영을 해주셔서 더욱 즐거운 마음으로 IPAS에 방문하였다.

이곳에서는 B.Baatartsol 부소장님의 인사와 함께 IPAS 기관 소개 및 현재 진행되고 있는 과제를 간단히 설명을 들은 후 근처에 위치하고 있는 시험포장 장소로 이동하여 과제 담당자인 Ya.Myagmarsuren 박사님이 직접 설명해주셨다. 몽골 현지에 적응된 우수 품종 선발, 인공적인 환경을 조성하여 가뭄과 병해충에 강한 품종 선별 등 많은 내용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IPAS 기관 방문을 끝으로 이번 코피아 아시아 소장단 방문 일정이 마무리 되었다.

 

 

이번 행사에 많은 도움을 준 주 몽골 대한민국 대사관, IPAS, NAEC 등 다시 한 번 감사를 드리며 격려해주신 농촌진흥청 차장님, 직원분들 그리고 각 센터 소장님들께도 감사드립니다.

선임연구원 박정은

 

태그:kopia, RDA, 농진청, 농촌진흥청, 몽골, 몽골센터, 코피아, 코피아 몽골센터, 농업기술개발, kopia몽골, kopia몽골센터, 아시아소장단, 아시아소장단협의회, 라승용, 농업, 홍성구

연수생 성과보고회(20160718)

Posted by kopia_mongolia
2016. 7. 30. 09:50 알림판/센터 소식

안녕하세요 코피아몽골센터 이수현, 최도영 연수생입니다.

 

2월 1일자로 파견된 연수생들이 6개월간 연수활동을 마치고 31일자로 귀국하게되었는데요,

 

7월 18일에 6개월 동안의 연수활동을 발표하는 성과보고회가 열렸습니다.

 

그리고 또! 7월 28일에 열린 아시아소장단협의회에서 발표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져서

 

농촌진흥청 라승용 차장님 뿐만 아니라 많은 아시아 소장님들 앞에서 발표를 한 번 더 하게 되었습니다!

 

센터에서 현지 직원들 앞에서 하는 발표도 떨렸는데 높으신 분들 앞에서 하려니 정말 많이 떨렸습니다.

그래도 소장님들께서 저희 발표를 좋게 평가해주셨고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다음에 발표할 때는 떨지 않고 잘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추가)

 

저희는 이렇게 발표할 기회를 주신 것만으로도 감사했는데

어제 29일에 소장님이 저희 모르게 연수 기념패와 꽃다발을 준비해주셨습니다.

전혀 생각지도 못했던거라 감동을 받아서 결국 저는 눈물을....
귀국 전에 큰 행사가 있어 많이 힘들었지만 그러한 힘듦을 행복으로 바꿔주는 하루였던 것 같습니다!

 

코피아몽골센터 홍성구 소장님 정말 감사합니다~!!

 

 

 

 

-이수현 연수생

 

 

-최도영 연수생

 

 

아래에 이수현 연수생과 최도영 연수생의 성과보고회 pdf 파일을 첨부하였으니 참고해주시길 바랍니다.

 

 

이수현 성과보고회.pdf

최도영 성과보고회.zip

 

 

-7.28.(목) 연수성과 보고회

 

7. 28.(목) 코피아 아시아 소장단 협의회 때 한 연수성과 보고회입니다.

농진청 차장님, 국외농업기술과 과장님, 아시아 코피아 센터(9개국) 소장님들 

그리고 연구관님 앞에서 발표를 했습니다.

당시 너무 떨려서 어떻게 했는지 기억이 잘 나지 않지만

이런 영광스러운 자리에서 발표를 할 수 있어서 정말 행복했고

이런 기회를 만들어 주신 홍성구 소장님께 다시한번 더 감사드립니다^^ 

 

 

-7. 28.(목) 코피아 아시아 소장단 협의회 단체사진

 

 

 

 

-농촌진흥청 라승용 차장님의 기념패 전달식(7.29.)

 

출국하시기 전날 29일에 차창님 만찬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 날 저희 연수생들의 기념패 전달식이 있었는데요,

정말 생각지도 못했습니다!

홍성구 소장님께서 저희들 모르게 기념패를 준비하셨고 이 날 전달식이 이루어졌습니다.

기념패는 라승용 차장님께서 직접 전달해 주셨습니다~!!!

 

어제는 정말 저희들에게 다시는 오지 않을 영광스러운 날이었습니다.

아직 미숙한 대학생들을 성장시키시려고 항상 애써주시고

저희 미래를 생각하셔서 항상 좋은 말씀도 많이 해주셨는데

이렇게 영광스러운 자리에서 기념패까지 만들어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앞으로 이 은혜에 보답하면서 대한민국의 농업을 이끌어나가는 글로벌 인재 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태그:kopia, RDA, 농진청, 농촌진흥청, 몽골, 몽골센터, 코피아, 코피아 몽골센터, 농업기술개발, kopia몽골, kopia몽골센터, 성과보고회, 성과발표, 연수생, 2016성과보고회

사료작물 우수품종 종자증식 시범사업 : 다르항 사업장 방문(160613)

Posted by kopia_mongolia
2016. 7. 5. 13:57 완료 사업/알팔파

 

안녕하세요 사료작물 알팔파 과제 담당자 이수현 연구원입니다.

 

몽골도 이제 날씨가 많이 풀려 어느덧 여름이 다 되었습니다.

 

 

-알팔파 채종포

 

이번에는 613일과 14일에 걸쳐 다르항으로 출장을 다녀왔는데요,
그 중 알팔파 과제사업장은 613일에 방문하였습니다.

 

 

- 축산연구소 시험포 입간판

 

축산연구소 과제사업장 입구에는 입간판이 설치되어 있고

울타리로 막아놓았는데요,

입간판에는 축산연구소, 사료작물 유전자풀 연구, 종자 증식 센터

라고 적혀있습니다.

 

 

-알팔파 모습

 

날씨가 점차 따뜻해지면서

알팔파가 한 달 전보다 눈에 띄게 많이 성장한 모습이 보였는데요,

 

 

코피아 몽골 센터의 지원을 받아 축산연구소에서 재배하고 있는 시험포(4ha)

알팔파의 재식거리를 30cm로 하여 그 전에 15cm 간격으로 재배하였던 알팔파보다

영양분 분배가 잘 되어 성장 속도가 빠른 것으로 보였습니다.

 

 

 

-과제 진행상황 설명

 

또한 작년 같은 시기 알팔파의 초장(17~18cm) 대비 올해 알팔파 초장

(25cm)이 길고 비교적 일정하게 난 상태였습니다.

 

가을이 되면 알팔파가 약 50cm 정도로 성장하며, 7월 말 개화하고 9월 중순 채종한다고 하는데요, 작년에는 가뭄이 있어 수확량이 많지 않았으나

올해 강수량이 많다는 예보가 있어 수확량이 많을 것이라고 예상된다고 합니다.

 

 

 

-과제 진행상황 설명_2

 

 

데지드마 박사님은 이번에 알팔파 주변의 잡초를 제거하기 위해

농약을 구매해서 살포하였다고 하셨는데 효과가 없어 인력을 구해 다시 제거해야 하나,

인력을 구할 비용 또한 마땅치 않다고 안타까움을 표하셨습니다.

 

채종기도 없어 손으로 채종 작업을 한다고 하는데, 이러한 면에서 우리 코피아 센터가 어떤 지원이 가능할지는 모르겠지만 알팔파 과제 담당자로서, 농업 전공 학생으로서 가능한 도움을 주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알팔파사료작물 과제 담당자로서 알팔파가 영양분을 많이 갖고 잘 자라

많은 축산 농가들에게 알팔파 종자가 보급되고,

이것을 통해 가축의 생산성 또한 향상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태그:kopia, RDA, 농진청, 농촌진흥청, 몽골, 몽골센터, 코피아, 코피아 몽골센터, 농업기술개발, kopia몽골, kopia몽골센터, 사료작물, 사료작물알팔파, 알팔파, 종자증식, 채종, 다르항

밀 우수품종 종자증식 시범사업 및 품종육성 : 다르항 IPAS 출장(160614)

Posted by kopia_mongolia
2016. 6. 30. 12:18 진행 사업/우수 밀

다르항 IPAS 출장(20160614)

 

 

안녕하세요. 코피아몽골센터 최도영 연구원입니다.

오늘은 6. 1314.에 다녀온 다르항 출장에 대해 작성해 보려고 합니다.

13일에는 양육·양모 과제 및 알팔파 과제 사업장을 방문했고

14일에 우수 밀 과제 사업장을 방문했습니다.

이번 출장에서는 코피아 센터의 3과제 사업장을 모두 방문했기 때문에

전 직원이 출장을 갔습니다.

 

 

 

일 시 : 2016. 6. 1314(, ), 2일간

장 소 : 다르항 시 농대 소속식물농업과학원

인 원 : 소장, 연구원3, 통역 및 행정원3 

 

전반적인 밀 재배 상황을 말씀드린다면,

 

밀 파종시기 : 5. 1222.

밀 수확시기 : 9. 10. 또는 9. 20.

현재 약 20cm, 7월 하순에 약 6070cm로 예상

 

 

<현장1 : 시설재배-비닐하우스>

목적 : 인공적 환경 조성으로 가뭄 또는 질병에 강한 품종 선별

tillering stage(분얼기)까지만 관수

tillering stage(분얼기) : 묘가 뿌리내린 다음부터 영양생장기까지 가지가 줄기 마디에서 갈라져 나오는 것

내건성 품종 시험현장

- 면적 : 90(0.009ha)

- 파종 날짜 : 5. 15.

- 40종의 혼합품종 및 한국 교배품종 파종, 몽골 현지 품종 위주로 선발하여 파종, 내열성 품종(1),

  내병성 품종(27~29)

내병성 품종 시험현장

- 인공적으로 Leaf rust(잎녹병) 환경 조성

Leaf rust(잎녹병) : 녹병균에 의한 이상 현상으로 잎의 외부형태가 변하는 것

 

 

<현장2>

25종의 품종 파종

대부분 F2세대, 일부 F5-6세대 품종 파종

1마다 생존율 상이, 6291%의 생존율

 

 

<현장3 : 신품종 개량 시험포장>

몽골 현지 적응 품종 25종 파종

- 25종의 품종 중 1213종은 수입품종

- 25종의 품종 중 조생종 5(15), 중생종 14종(619), 중만생종 또는 만생종 6종(2025)

- Darkhan131(조생종) : 내한성, 고산지대 적응 품종

  Darkhan166(중생종) : 2013년도에 품종으로 확정, 내건성 품종, 제빵용

  Darkhan144(중만생종) : 내건성

 

 

<현장4 : 종자증식 시험포장>

2년차 시험포장

- 집단선발 시 4년차에 우수품종 수확

- 계통선발 시 6년차에 우수품종 수확

집단선발 : 처음부터 우량개체들을 집단으로 선발하여 우량 개체 간에 교배를 시키면서 선발을 계속하는 방법

    계통선발 : 잡종의 초기 분리세대에서 어떤 형질마다 개체선발을 한 후 그 각각의 자손을 보존함

                       이것들을 각각의 계통으로 하여 계통간의 비교로부터 선발하는 것

현지 적응 종자 증식을 목적으로 년도에 따른 현상 관찰

줄마다 다른 줄기에서 나온 종자 파종

- 5(0.0005ha)에 한 줄기에서 나온 종자 파종 

 

 

참고 사항으로,

 

조생종의 수확 시기는 8085일이고 중생종의 수확 시기는 8590,

만생종의 수확 시기는 95108일입니다.

그래서 홉스굴 호수나 아르항가이 주 등 고산지대는 수확시기가 빠른 조생종을 선호하고 기후가

안정된 중부지방은 중생종을 선호합니다.

 

현재 IPAS기관은 밀 이외에 옥수수나 벼 등도 재배하고 있습니다.

벼 재배 같은 경우는 일본, 중국, 한국 품종 등 약 200종의 품종을 심었다고 합니다.

 

느낀점

 

이번 다르항 IPAS 출장은 2번째 방문이었습니다.

3. 9. 첫 현장방문 당시에는 아직 겨울이라 시험포장이 조금은 황량했습니다.

밀이 어느 정도 자랐을 것이라고 기대했지만

첫 출장 때의 기억이 남아있어서 불안한 마음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6월은 역시 봄이더라고요. 6월의 시험포장은 파릇파릇 했습니다.

황량했던 토양은 20cm나 자란 푸른 밀들로 덮여 있었고

주변에는 꽃이 피어 있었습니다.

7월 말에는 밀이 6070cm 정도 자라고 열매도 어느 정도 맺힌다고 합니다.

밀이 무사히 잘 자라 9월에 높은 생산량으로 수확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단체 사진

 

 

 

 

태그:kopia, RDA, 농진청, 농촌진흥청, 몽골, 몽골센터, 코피아, 코피아 몽골센터, 농업기술개발, kopia몽골, kopia몽골센터, 우수 밀, IPAS, 다르항, 협력과제, 협력사업, 시험현장,

       인공온실, 출장, 밀 우수품종 종자증식 시범사업 및 품종육성

조사료와 영양개선을 통한 양육과 양모의 생산성과 유전적 가치개선 : 과제 현황 파악 출장 (160613)

Posted by kopia_mongolia
2016. 6. 28. 12:14 완료 사업/양육·양모

안녕하세요. 코피아 몽골센터 박정은입니다.

 

오늘은 조사료와 영양개선을 통한 양육과 양모의 생산성과 유전적 가치개선사업에 대하여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총 사업기간은 2014620176월 까지 3년에 걸친 사업으로, 국립 몽골농업대학 소속인 축산연구소 (RIAH : Research Institute of Animal Husbandry)와 협력 사업을 진행 중입니다.

 

조사료와 영양개선을 통한 양육과 양모의 생산성과 유전적 가치개선사업은

 

목초지의 알팔파, 호밀, 귀리, 야생호밀, 보리의 건초의 품질과 성분 분석

혼합 사료를 어린 양에게 급여, 고기수량과 품질 변화 및 지방과 고기의 비율 측정

양육 및 양모 생산이 가능한 양의 유전가치에 대한 연관성, 사료 영양, 성장과 생산성 변화에 대한 연구

목축업자들에게 지식과 기술 제공, 조직훈련 및 광고를 통한 지식 전파

 

위 4가지를 목표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2016613일 현장점검 및 과제 진행상황 파악을 위해 Darkhan uul Aimag Khongor Soum으로 출장을 갔습니다. 이곳은 축산연구소의 시험포장 (60ha) 이며 현재 사료작물 우수품종 종자증식 시범사업또한 축산연구소의 시험포장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시험포장에서 현장 설명 중.

 

201671일부터 보리, 귀리 등을 파종하여 81520일에 수분상태를 확인 후 길이가 한 뼘 정도 되었을 때 수확을 할 예정입니다.

 

 왼쪽이 보리, 오른쪽이 귀리 

 

작년에는 총 20ha에서 1,400 더미를 수확하였으며, 2015년 연구 결과로는 8월에 영양가가 가장 높았습니다.

(보통 7월에 영양가가 높지만, 15년에는 날씨의 영향으로 다른 결과가 도출됨. 정확한 결과를 위해 한 번 더 실험을 진행 중에 있습니다.) 그리고 수확하고 일정량은 실험용양을 비육하는데 이용하게 됩니다.

 

 2015년 연구 결과 자료 중 '목초지 영양 조사' 

 

 

현장점검이 이루어진 날 (2016613) 기준으로 5일 이내로 20ha에 울타리를 설치한다고 하였지만 몽골의 큰 축제인 나담 축제 (201671115) 이후로 변경되었습니다. 아래의 사진이 나타나는 곳에 울타리를 설치할 예정입니다.

 

 RIAH 시험포장 60ha 중 20ha 울타리 설치 예정지

 

현재 양육·양모 사업에는 50여 마리의 실험용양을 사육하고 있으며, 실험용양은 Selenge Aimag Saikhan Soum Nomgon Bag에서 방목 중입니다. 겨울에는 아래와 같은 축사에서 생활하지만 겨울이외의 날에는 축사에 들어오지 않고 항상 방목상태로 생활하게 됩니다. 그리고 숫양은 내보내고 암양만 안에서 사육합니다. 이 시설은 1,200마리를 수용합니다.

 

   

 1,200마리 수용가능한 양 겨울용 축사 (외부 및 내부)

 

실험에 이용되는 양은 Orkhon 품종으로 보통 몽골양보다 도체 시 육량이 30% 이상 많으며 양모도 3.54kg (보통 34) 생산, 가죽도 두껍고 적응력도 뛰어납니다.

(여기서 말하는 적응력이란 몽골은 날씨변화가 심한 곳인데 겨울에서 봄으로 변화할 때 날씨변화에 잘 적응할 수 있는가를 이야기합니다.)

 

 실험용 양 'Orkhon'품종 방목 현장

 

그리고 실험용 양들은 2016624일 털깎기 (전모)를 실시하였습니다. 다음번에 털 뭉치에서 벗어난 양들을 만날 수 있겠는데요? :-)

 

 작년에 현장을 방문했을 때보다는 깨끗한 장소와 관리가 되고 있었으며, 푸른 초원을 다니는 양들을 보고 현장을 체크할 수 있어 즐거웠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계획과는 다르거나 조금 느리게 진행되는 점은 고쳐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도 축산연구소는 열심히 하려는 의지를 보이고 있으며, 내년에는 소에 대한 연구를 원하고 있어 좋은 계획으로 내년에 만난다면 몽골 축산업에서도 더 큰 발전이 되리라 생각됩니다.

 또한, 몽골은 날씨에 대한 영향을 많이 받는 국가입니다. ·축산업에 있어서 물은 귀한 존재이기에 몽골 땅에도 많은 축복이 내려, ·식물이 잘 자랐으면 하는 마음이 가장 크고, 아직도 몽골이란 나라에서 축산을 볼 수 있음이 너무나 즐겁고 행복합니다.

많은 분들도 몽골에서 이 따뜻함과 여유로움을 느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양육양모 과제 담당자와 KOPIA 몽골센터 직원들의 단체사진 촬영으로 6월 13일 양육양모 과제 일정은 끝이 났습니다!

 

태그:kopia, RDA, 농진청, 농촌진흥청, 몽골, 몽골센터, 코피아, 코피아 몽골센터, 농업기술개발, kopia몽골, kopia몽골센터, 출장, 축산, 양육양모, 협력사업, 협력과제, 시험현장,

       축산연구소, RIAH

밀 우수품종 종자증식 시범사업 및 품종육성 : 사업 소개

Posted by kopia_mongolia
2016. 6. 9. 16:10 진행 사업/우수 밀

밀 과제사업 소개

 

 

안녕하세요. 밀 과제사업을 맡고 있는 코피아몽골센터 최도영 연구원입니다.

밀 과제는 코피아몽골센터의 5가지 과제 중 첫 번째 과제로서 올해로 3년차가 되었습니다

오늘은 '밀 과제사업이란?'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글을 작성하려고 합니다

밀 과제사업의 목적과 목표, 성과 등 이 과제가 무엇인지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목차>

 

1) 과제 명 및 사업기간

2) 협력기관 소개 및 과제 책임자

3) 밀 과제사업의 필요성

- 농업적 필요성

- 경제적 필요성

- 기술적 필요성

4) 성과

5) 목표

6) 올해 사업추진 계획

 

 

 

1) 과제 명 및 사업기간

과제 명 : 밀 우수품종 종자증식 시범사업 및 품종육성(Elite seed production and to develop a new variety of wheat)

사업기간 : 2014. 5. 15. ~ 2017. 5. 14.

 

 

2) 협력기관 소개 및 과제 담당자

 

 

협력기관 소개

 ○ IPAS(Institute of Plant and Agricultural Science 식물농업과학원)

   - 몽골농업대학교 산하 식물농업과학원은 농업과 식물 연구 및 보호, 환경 조사, 농업 기술 연구 조사 그리고 교육을 실행하는 기관

 

 

 

   - 기관 연혁

     • 1948: 몽골과학연구소 산하 농업실험연구원 설립

     • 1952: Бургалтай항가이 지역 농업 실험 연구소 설립

    

     1963: 식물과학연구원설립 Zuunkharaa

 

 

     • 1977~현재 : IPAS 다르항 설립

 

   - 기관 안내 : 총 직원 수 107명 중 연구원 69. Sc. Doctor1, Ph.D17, 교수1, 부교수3, 박사과정 중 11, 석사34, 석사 과정 중 4.

 

   - 연구 활동

  작물 재배 기술 및 새로운 작물 품종 개발

품종 선발 및 외국 품종 현지 적응화

작물 저장 연구 농축을 위한 유전자원 지원

종자 생산 재배

기술 시비 토양과 식물의 개발

퇴비 비료 생산

식물 생화학 및 기술 분석 연구

토양 비옥도 상태 개선 관리

경험 식물 보호 연구 조사

 

  우수 밀 과제 책임자

 

 

3) 밀 과제사업의 필요성

농업적 필요성

 ○ 품종육성사업으로 15~20% 수익 증대 및 수량 손실 감소

 ○ 신품종개발로 단시간에 농업연구개발의 이익 실현 가능

경제적 필요성

 ○ 종자생산으로 식량생산의 증가 기대

 ○ 생산량과 유기농식품의 공급 향상 효과

 ○ 고용률 및 국민소득의 상승으로 인한 경제성장

기술적 필요성

 ○ 몽골 종자증식과 재배기술의 향상을 위한 선진 농업기술의 전파 필요

 

 

4) 성과

몽골 등록품종의 우수종자 생산

 

 ○ 계통/집단선발을 통해 종자 5,000/115,000개 또는 350kg 선발

 ○ 2년차 기본 종자필드에서 Darkhan-144 2,500kg, Darkhan-131 1,800kg, Darkhan-166 1,500kg, Darkhan-34 900kg, 6,700kg 종자 수확

 ○ 초우수종자 2.624ha에서 150kg/ha 비율로 파종, 17.3.

   - <Darkhan-144(중만생종) : 6.0, Darkhan-131(조생종) : 4.3, Darkhan-166(중생종) : 4.5, Darkhan-34(중생종) : 2.5>의 초우수종자 생산

조생종 : 같은 종의 작물 중에서, 표준적인 개화기의 것보다 일찍 꽃이 피고 성숙하는 품종

    중생종 : 조생과 만생의 중간인 품종

    만생종 : 생태적으로 정상보다 늦되는 품종

    중만생종 : 개화 시기가 8월 중순과 9월 중순 두 번에 걸쳐 일어나는 품종

 

 

밀 신품종(수량성·품질 증대, 내건성, 병해 저항성) 육성

 

 ○ F1세대 40종 잡종 조합 수확 결과

   - 이종교배 된 Darkhan-131, CDC Go, CDC Stettler, MK-261, HTWSN-88-13의 조생종 조합 생산

 ○ 밀 유전자원 교환 : 한국에 12종의 몽골 품종 전달, 28종의 한국 품종 수령

 ○ 현지 농민을 통한 24종 품종 파종

 

 

5) 목표

몽골 등록품종의 우수종자 생산

 ○ 우수 품종 종자 생산량 15~20% 증가, 생산량 감소 극복

 ○ 기본종자 13.2, 초우수종자 34.4, 우수종자 16톤 생산 목표

밀 신품종(수량성·품질 증대, 내건성, 병해 저항성) 육성

 ○ 수량성 10~15% 증진, 단백질 함유량 12% 이상, 글루텐 함유량 28%인 품종과 잎 녹병 및 겉 깜부기병에 저항성을  지닌 품종 계통 10~12종 선발

글루텐 : 밀에 포함되어 있는 단백질, 빵 반죽의 점탄성(쫄깃함)에 영향을 줌

       녹병 : 담자균류에 속하는 녹병균이 잎에 기생하여 이상 현상을 발생시켜 외부형태에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 것

         겉 깜부기병 : 대맥, 소맥, 연맥 및 벼와 목초인 오토글라스에 발생하는 흑수병의 1. 가장 대표적인 흑수병으로 보

                                    리의 이삭이 출수할 무렵, 이삭이 이병하여 새까맣게 탐

 

 

6) 올해 사업추진 계획

53ha에서 종자증식 실시

내건성 품종 및 단백질 함량이 증가된 품종 선발

슈퍼 우수품종 23.3, 우수품종 16톤 수확 계획

F2세대 선발 시험 및 증식 계획

 ○ 수확물의 성분 및 내한성, 내서성 시험 계획

내한성 : 추위를 잘 견디어내는 식물의 성질

     내서성 : 더위를 잘 견디어내는 식물의 성질

      ○ 2단계로 시험예정 : 외부 및 검사실 내부

교배된 우수품종의 생산 추진 및 농가 보급

 

 

 

 

지금까지 우수 밀 과제사업을 간단히 요약해 보았습니다.

한국 밀 파종시기는 9월 하순(북부) 또는 10월 중·하순(남부)으로 초여름에 수확하는데

몽골 밀은 5월 초에 파종하여 10월에 수확합니다.

6월인 지금 몽골에서는 밀이 한창 자라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우수 밀 과제사업에 대한 많은 정보를 올릴 예정이니

꾸준한 관심 부탁드립니다~~! 

 

 

태그:kopia, RDA, 농진청, 농촌진흥청, 몽골, 몽골센터, 코피아, 코피아 몽골센터, 농업기술개발, kopia몽골, kopia몽골센터, 협력과제, 협력사업, 우수밀,

                                밀 우수품종 종자증식 시범사업 및 품종육성

2016년 KAPEX 발표자료 (첨부) Мал аж ахуйн үйлдвэрлэлд нэмүү өртөг нэмэгдүүлэх нь

Posted by kopia_mongolia
2016. 6. 7. 08:19 알림판/센터 소식

안녕하세요. 코피아 몽골센터입니다.

 

2016년 개도국 식량안보를 위한 우리나라 농정 성과확산 사업 (KAPEX) 이 몽골에서 개최되었습니다.

 

□  2016. 6. 5. ~ 11. (총 7일)

Chingis Khan 호텔

 

몽골 현지연수를 실시함으로써 한국 농촌 개발 및 가축사육/관리 분야의 발전 경험을 공유하고, 실무급 공무원 및 공공기관 종사자들의 관련 분야에 대한 정책개발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개최된 이번 세미나에 코피아 (KOPIA) 몽골센터 홍성구 소장님도 발표를 하게 되었습니다.

 

홍성구 소장님의 발표자료를 올립니다. 미리 확인하시고,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KREI  / Kapex seminariin iltgel 


Kopia Mongol Toviin zahiral   Dr. Hong Seongkoo.


Mal aj ahuin uildverleld nemuu ortog nemegduuleh ni 


2016.6.5. ~ 2016.6.11. 

Chinggiskhaan hotel 

 


2016 KREI 세미나 발표자료_홍성구.pdf

Mal aj ahuin uildverleld nemuu ortog.pdf



 

 


 

 

태그:kopia, RDA, 농진청, 농촌진흥청, 몽골, 몽골센터, 코피아, 코피아 몽골센터, 농업기술개발, kopia몽골, kopia몽골센터, KAPEX, KAPEX 발표자료, 홍성구

코피아 (KOPIA) 시험 및 면접 팁

Posted by kopia_mongolia
2016. 6. 2. 16:25 알림판/정보 안내

안녕하세요. 코피아 몽골센터 선임연구원 박정은 입니다.

 

요새, 한국은 불볕더위로 많은 분들이 힘들어하시는 것 같아요 :-(

몽골도 햇볕이 무서운 기세이지만 그늘로 대피하면, 시원한 여름을 즐길 수 있습니다.

 

현재 몽골의 하늘 (2016.06.01 : 몽골 어린이날)

여러분 61일로 KOPIA 센터 연구원 및 연수생 모집이 끝났죠?

 

하지만 내일 (3) 예정되어있는 서류합격자들을 위해, 저희 3명이 몇 가지 을 전달하려 합니다.

많이들 궁금해 하실 몇 가지를 정리해보았는데요.

 

 

이번에는 영어시험은 공인성적이 있으면, 대체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영어성적을 보유하지 않은 분들은 저희처럼 시험에 응시를 하셔야하는데요, 연구원과 연수생은 다른 시험을 보게 됩니다. 시험을 응시하는 사람들 마다 생각이 다를 수 있으니, 몽골센터에서는 3명의 이야기를 다 들려드리겠습니다 :-)

 

1. 영어시험

 

 박정은 연구원

주관식 문제로 한, 한 번역으로 농업 및 농업관련 정책, 뉴스 등을 번역하는 시험이 대다수였습니다.

 이수현 연수생

객관식 문제하고 농업 관련 영어 해석 문제, 영어 작문 문제 이렇게 나왔는데 평상시 영어를 조금 공부하셨던 분이시면 쉽게 푸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영어 해석도 긴 문장이 아니라 괜찮으실 것 같고 영어 작문 문제는 주제가 4개 정도가 있었는데요, , 주말에 한 일, 취미, 최근에 일어난 일 중 인상 깊은 일 이렇게 4가지가 보기로 나왔는데 그 중 1가지를 선택하셔서 작성하시면 됩니다. 저 같은 경우는 미리 한 가지를 선택한 후 외워서 갔기 때문에 큰 어려움이 없었습니다. 시간은 1시간~1시간 20분 정도 였던 것 같습니다. 미리 화이트하고 펜 꼭 준비하세요!

 최도영 연수생

연수생들은 객관식 문제와 주관식 문제가 나왔는데요! 주관식은 2문제였습니다. 한 문제는 농업 관련 영어 지문 해석이었고 다른 한 문제는 4가지 주제가 주어지는데요. 그 중 하나를 선택해 영작을 하는 문제였습니다.

 

2. 한국어 면접

 

 박정은 연구원

저는 소장님과 연수생들 사이에 있는 역할이라며 갈등이 생겼을 때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와 지원동기 및 내가 몽골에서 무엇을 잘할 수 있는지를 질문 받았습니다. 그리고 현재 몽골에서는 어떤 사업들을 진행하고 있는지 알고 있냐?”는 질문도 받았습니다.

 이수현 연수생

면접은 보통 3명씩 들어가고 면접관님은 4분이 계십니다. 그 중 한분은 외국인이시고 영어면접을 하십니다. 저희 같은 경우는 지원자가 4명이어서 다 같이 면접을 봤는데요, 먼저 영어 면접 후에 한국어 면접을 진행했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자기소개, 지원 동기, 지원 동기와 관련된 질문(몽골의 땅이 넓은데 식물 재배가 어려운 이유), 몽골에서 어떤 것을 하고 싶은지 등의 개인질문과 공통적으로 KOPIA 약자에 대한 질문을 하셨습니다. *KOPIAKOrea Project on International Agriculture 로 아시는 분들이 거의 대다수일 것이라고 생각이 되는데요, Project에서 Program 으로 바뀌었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바뀐 것을 면접 전에 알게 되어서 다행히 대답을 할 수 있었습니다.ㅎㅎ

 최도영 연수생

저희는 KOPIA 관련 질문이나 몽골에 지원한 이유, 센터로 파견되면 어떤 일을 할 수 있는지 등을 질문 받았습니다. 또 다른 면접 팀에서는 소장님이나 현지 직원과 갈등이 생겼을 때 어떻게 풀어나갈 것인지에 대해서도 질문을 받았다고 합니다. 면접 대기 시간이 길어질 수 있으니 시험기간이시라면 면접 준비 자료 외에 간단한 공부거리 가지고 오시면 좋을 것 같아요~ 저희가 면접 볼 때 몽골이 마지막이어서 면접대기시간만 거의 3시간 30분이었거든요ㅠㅠ

 

3. 영어 면접

 

 박정은 연구원

제가 영어면접을 보았을 때는 한국분이셨는데 영어를 엄청 잘하는 여자선생님께서 질문을 하셨습니다. 자기소개서를 바탕으로 질문을 하였고, 3개정도를 물어보았던 것 같습니다. 먼저, 자기소개를 시켰으며, 지금 확실히 기억나는 질문은 일하던 곳에서 가장 힘들었을 때가 언제였는가?”에 대한 질문이었습니다.

 이수현 연수생

영어면접은 외국인 면접관께서 보시는데요, 사람마다 다른 질문이 주어졌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자기소개와 몽골에서 어떤 일을 할 수 있는지, 이렇게 2가지 질문이 있었고 다른 지원자들에게는 자신의 장점과 단점, 지금 기분이 어떤지, 외국인 친구가 자신의 지역에 놀러왔을 때 소개, 몽골은 어떤 나라인지 등의 질문이 있었습니다. 영어 면접이라고 해서 많이 떨었는데 천천히 말해도 면접관님이 잘 들어주시고 대답을 못하면 다른 질문을 해주시기 때문에 무엇보다 자신감이 최고 중요한 것 같습니다!

 최도영 연수생

영어 면접을 가장 먼저 하는데요~ 이것은 간단해요~ 자기소개, 몽골에 대해 아는 것, 기분이 어떤가? 왜 지금 그런 기분인가? 등을 질문을 받았습니다. 영어 질문은 1~2개 물어 보니깐 준비만 잘 하면 될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저희 3명이 말하는 공통적인 면접 팁은 바로 자신감입니다. 많은 분들이 이 포스팅을 보고 자신감으로 면접에 임하셔서 좋은 결과 얻기를 바랍니다.

 

왼쪽에서부터 이수현, 최도영, 박정은

 

그리고 몽골을 원하시는 분들은 저희 티스토리에서 많은 정보를 얻고 가세요!

 

몽골에서 만나요.  (Монголд уулзацгаая)

 

태그:kopia, RDA, 농진청, 농촌진흥청, 몽골, 몽골센터, 코피아, 코피아 몽골센터, 농업기술개발, kopia몽골, kopia몽골센터, KOPIA면접, 코피아시험, 코피아면접, 코피아 연구원,

       코피아 연수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