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봄철 가뭄에 따른 작물 파종 지연

Posted by kopia_mongolia
2019. 6. 11. 16:56 몽골 news/몽골 농업 현황

현재 몽골 Selenge aimag에서는 곡식 파종이 약 58.6%가 완료되었다. 여기에 약 60%는 밀이고, 41.5%는 과채류이다. 과채류의 약 30%는 감자가 차지하고 있다. 식품·농업·경공업 장관과의 회의에서 농업종사자들이 낮은 강수량에 의한 영향이 다양하여 그 피해 범위가 크다고 언급했다.


이에 대해 지난 5월 24일, 장관은 Selenge aimag을 방문하여 aimag의 시장과 문제에 대해 토론하고 현재 aimag의 봄 경작에 대해서 숙지했다. 또한 Selenge aimag의 ‘Selenge Taria’, ‘Mo Mo Agro’, ‘Gazar Agro’ 등 농업분야 기업에도 방문하여 최근의 상황에 대해 검토했다.





참고문헌

“Low precipitation impact on cultivation”, The Mongolian Messenger, 2019.05.31






KOPIA 몽골센터 연수생 차민교

적은 눈으로 인한 가축농가에 우물 공급 필요 증가

Posted by kopia_mongolia
2019. 5. 21. 08:59 몽골 news/몽골 농업 현황

지난 51일 몽골 식품·농업 부는 현재의 상황에 대해 보고했다. 몽골의 가축은 작년에 비해 성장한 상태(가축 수:2018년이 2017보다 0.4% 증가/수출 1.8배 증가/수익:5.9%증가)이며 국내총생산(GDP)10.6%, 수출의 8.4%를 차지한다.

 

몽골의 겨울과 봄은 농업의 경우, 기후가 적합하지 않아 준비가 필요하다. 이번 겨울의 경우 기후가 비교적 따뜻했고 동시에 준비도 철저(전국적으로 89.1%로 측정되었음)했기에 어려움은 없었지만 눈의 양이 적어서 몇몇 아이막(Bulgan, Darkhan-Uul. Dornod, Dornogobi, Umongobi, Selenge, Sukhbaatar, Uvs, Khovd, Khuvshul, Khentii)에 가뭄이 왔다.

 

매년 육류 및 육류 상품 수출이 증가하고 있으며 2018년의 경우 총 7.04만 톤이 수출되었다. 이는 1.6억 달러 가치를 가진다. 정부는 외화를 벌어들이고 채광에 의존하는 경제를 중단하는 것이 목표로 하고 있기에 가축의 수를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이 중요하다(매년 수출 가축 수 목표를 두고 달성하는 중이다.2018년 기준 50만 톤 달성). 그러므로 이번 기후에 따른 가축농가에 우물 설치 및 물 공급은 필수적이다.

 

년 초에 어미 가축이 2970만이었지만 올해의 새끼 가축들은 2000만 밖에 추정되지 않는다. (현재 53.7%의 어미가축과 1560만 새끼 가축이 전달되어 기관에서 돌봐지고 있음). 정부는 작년 목표(2018)8000만 가축에게 물을 제공하는 것이었는데 올해도 그 목표를 유지하게 되었다. 현재의 우물 수로는 6650만 가축에게 제공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장관은 현재의 상황이 어렵다는 것을 표현했다.




참고문헌


A.Munkhzul,“Spring situations on livestock and sowing preparation reported”, The Mongolian Messenger, 2019.05.03






KOPIA 몽골센터 연수생 차민교

Greenbelt plantation Project의 624헥타르 땅 개선 및 복구

Posted by kopia_mongolia
2019. 5. 13. 08:55 몽골 news/몽골 농업 현황

2007년부터 대한민국 정부와 몽골 정부가 몽골의 모래바람 및 먼지 완화와 사막화 방지를 위해 Greenbelt plantation Project를 착수했다. 프로젝트의 첫 phase가 성공적으로 착수되면서 624헥타르의 땅 개선을 계획했다. 100헥타르는 숲으로 만들고, 500헥타르의 saxaul forest를 복구하며, 나머지 624헥타르는 임업모표(tree nursery)와 지역 숲 훈련센터를 설치하기로 했다. 이 지역은 국제 숲 기금에 등록되고 어문고비 아이막 숲(forest unit of Umnugobi aimag)에서 관리를 하게 된다.

 

Greenbelt plantation Project500헥타르 숲과 1540헥타르 saxaul forest를 복구하는데 힘써왔고, 환경에 관한 지식을 수 천명의 어린이들과 시민에게 교육을 제공하며 2017년까지 848명의 시민에게 일자리를 제공해 주었다. 어문고비 아이막 숲(forest unit of Umnugobi aimag)2013년에 프로젝트 재정으로 설립되었으며 교육이 계속 되어 오고 있었다.

 

이 프로젝트의 두 번째 phase2020년까지 울란바토르의 green space 개발과 레크레이션 green space 설치를 목표로 두고 있다.





<참고문헌>

A.Munkhzul,“624 hectares of forest area allocated to forest unit of Umnugobi aimag”, The Mongolian Messenger, 2019.05.03




KOPIA 몽골센터 연수생 차민교

기후변화로 인한 몽골 생활 방식 변화 및 환경피해

Posted by kopia_mongolia
2019. 3. 5. 12:30 몽골 news/몽골 농업 현황

1990년 사회주의 체제가 끝을 내림에 따라 가축의 수가 약 네 배가 늘었다. 이는 시장경제의 성장을 이끌어 왔지만 오래가지 못했다. 몽골의 연평균온도가 1940년에서 2014년동안 2.1도가 상승하게 되었는데 이는 세계수준의 세배정도이다. 이러한 기후변화는 긴 가뭄을 불러오고 이에 따른 부가적인 문제가 발생했다.

 

온도가 올라가고, 가뭄이 심하며, 가축들이 성장하는데 필요한 grass의 성장률이 줄어들었는데, 이는 몽골에서 10년에 1번씩 일어나는 일이었다. 하지만 1988년 이후로 7회째 일어나고 있으므로, 가벼운 자연재해로 볼 수 없게 되었다. 이 결과로, 가축들의 수가 다시 감소하고 유목민들이 도시에서 생계를 꾸리게 되었다.

 

가장 대표적인 예시로, 몽골의 대표적인 숲인 Boreal forest가 있다. Boreal forest는 세계적으로 가장 큰 terrestrial biome으로, 동식물을 포함하고 있는 넓은 영역이다. 근래의 기후변화로 인해 가뭄이 길어짐에 따라 화재의 빈도가 올라가, 2017년에는 206번의 숲에서의 화재가 있어서 약 80,000헥타르 정도가 손상을 입었다. 이는 숲이 초원으로 바뀌는 현상까지 초래한다.

 

이에 따라 환경 뿐 만 아니라 개인의 무방비한 사용에 따라 오는 숲의 손상을 막기 위해 정부는 제제 계획을 세웠다. 숲 관리자 고용을 늘려 마른 나무나 죽은 나무를 제거 하여 산불을 막고 이 나무들로 숯을 만들어 석탄의 대체제로 대체하는 등의 응용적인 활동을 유도하기로 했다. 또한 숲의 자원을 개인에게는 허용하지 않고 기업에게만 허용하여 생태계 균형을 맞추는데 힘쓰기로 했다.


참고문헌: Kate Evans.(2019).“The changing world of Mongolia’s boreal forests”.THE MONGOL MESSENGER. February 22



KOPIA 몽골센터 연수생 차민교

KOPIA 몽골 센터 팜&마켓 기고문 게재

Posted by kopia_mongolia
2018. 7. 27. 13:59 알림판/센터 소식

  지난 2018725KOPIA 몽골 센터(소장 최만영) 기고문이 팜&마켓 홈페이지에 게재되었습니다.

  이번 기고문은 몽골 채소산업의 현황과 앞으로의 전망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링크에 들어가시면 확인하실 수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출처: http://www.farmnmarket.com/news/article.html?no=6234

 

 

 

KOPIA 몽골 센터 연수생 임지민

 

 

 

태그: KOPIA, kopia, kopia몽골센터, 몽골, 채소, 산업, 현황, 전망, 팜앤마켓, 농업

 

 

 

 

 

 

 

KOPIA 몽골 센터 팜&마켓 2차 기고문 게재

Posted by kopia_mongolia
2018. 7. 9. 09:31 알림판/센터 소식

 지난 2018625KOPIA 몽골 센터(소장 최만영)2차 기고문이 팜&마켓 홈페이지에 게재되었습니다. 기고문은 몽골농업에 관련된 내용으로서 몽골농업의 앞으로의 방향성과 그에 따른 정책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더욱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링크에 들어가시면 확인하실 수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출처: http://www.farmnmarket.com/news/article.html?no=5843#08tt

 

 

 

KOPIA 몽골 센터 연수생 임지민

 

 

 

태그: KOPIA, kopia, 몽골센터, 몽골, 팜앤마켓, 농업, 정책, 방향

KOPIA 몽골 센터 팜&마켓 기고문 게재

Posted by kopia_mongolia
2018. 6. 20. 09:57 알림판/센터 소식

  지난 2018531KOPIA 몽골 센터(소장 최만영)의 기고문이 팜&마켓 홈페이지에 게재되었습니다. 기고문은 몽골 농업에 관련된 내용으로서 몽골의 현황 및 농업의 중요성 등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더욱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링크에 들어가시면 확인하실 수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http://www.farmnmarket.com/news/article.html?no=5660#08tt

 

 

 

KOPIA 몽골 센터 연수생 임지민

 

 

 

태그: KOPIA, kopia, kopia몽골센터, 팜앤마켓, 기고문, 농업, 경제, 몽골현황

2017년 몽골 채소 가격 동향

Posted by kopia_mongolia
2018. 6. 19. 10:27 몽골 news/몽골 정보

. 조사일시 : 2017. 1. 4. ~ 2017. 12. 27.(공휴일을 제외한 매 주 수요일, 51)

. 조사기관 : NATIONAL STATISTICS OFFICE OF MONGOLIA 

http://taniltsuulga.ubstat.mn/ 

. 조사장소 : 울란바토르 내 시장 및 쇼핑센터의 채소 판매점

 

 

. 조사품목: (몽골)감자, (몽골)당근, 양배추, , 양파

. 2017년 몽골 채소 가격 변동

 

 

 

. 전년도 대비 몽골 채소 물가 상승률

 

. 요약

 

 

. 그래프

 

 

 

 

KOPIA 몽골 센터 연수생 임지민

 

 

 

태그: KOPIA, kopia, 몽골, 울란바토르, 채소, 가격, 동향, 변동, 물가, 농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