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PIA 몽골 센터 제 10 사업 '비육우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맞춤형 사양 기술 적용' 현장 방문

Posted by kopia_mongolia
2018. 6. 6. 09:54 진행 사업/비육우 사양 기술 개발

  지난 201852425, 31KOPIA 몽골 센터(소장 최만영)에서 제 10 협력사업인비육우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맞춤형 사양 기술 적용현장에 방문했습니다.

  해당 사업은 현재비육우의 겨울철 사료 보충급여 시스템 개발목초 종자의 보파 및 윤환 방목으로 정착형 사양 기술 개발두 가지 항목으로 나눠 진행되고 있는 사업입니다.

  먼저비육우의 겨울철 사료 보충급여 시스템 개발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농가 두 곳에 방문하였습니다.

  Tuv 아이막 Sergelen솜에 위치한Duuya Meneral’농가는 현재 3년째 운영 중이며 3060마리의 젖소를 보유 하고 있습니다. 이 중 체고, 체장, 흉폭 등을 측정한 결과를 토대로 우수한 1224개월의 수소 20마리를 선정하여 비교 사육을 진행할 예정이며 또한, 귀리, 알팔파, , 호밀, 수수, 완두, 흰정동싸리 총 7품종을 파종하여 겨울철 사료작물로 이용 및 시험할 계획입니다.

 

 

  Tuv 아이막 Bayanchandmani‘Chand’농가의 경우 2018년 초부터 농장 운영을 시작하였으며 폴란드와 몽골의 환경이 비슷하다고 생각하여 폴란드의 시설 및 기술을 몽골에 적용한 농가입니다. 현재 100마리의 비육우를 보유 중이며 이 중 15마리를 선정하여 사업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또한, 35ha에 해당하는 재배면적에 귀리, 알팔파, , 호밀, 수수, 완두, 흰정동싸리 총 7품종을 파종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음은 Darkhan-Uul 아이막 Khongor솜에 위치한목초 종자의 보파 및 윤환 방목으로 정착형 사양 기술 개발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농가에 방문했습니다. 해당 농가의 경우 재배면적 80ha 50ha에 귀리, 알팔파, 밀, 보리, 옥수수, 완두, 흰정동싸리 총 7가지 사료작물을 620일에 파종할 계획이며 작년에 알팔파를 재배했던 면적을 두 구역으로 나누어 한 구역에는 사료작물을 파종하고 나머지 한 구역에는 파종하지 않음으로서 비육우의 체중 등을 비교 연구할 예정입니다.

 

 

  몽골의 농업생산액 41,517중에 축산업이 34,961으로 84.2를 차지하고 연간 육류 생산은 2015년에 4억 톤, 그 중 소고기 생산량은 23.1%90.2만 톤을 차지하는 등 축산업은 단연 몽골의 주요 사업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몽골 비육우의 평균 생체중은 270kg며 도체중은 130kg로 소 전체의 48% 밖에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최선의 방법을 모색하여 차질 없이 사업이 잘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앞으로 협력기관과의 원활한 소통을 통하여 협력 사업이 진행됨에 있어서 큰 어려움이 없길 바라며 몽골 축산업 발전의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KOPIA 몽골 센터 연수생 임지민

 

 

 

태그: KOPIA, kopia, kopia몽골센터, 비육우, 사양기술, 사업, 현장방문, 사료작물, 축산

 

 

KOPIA 몽골 센터 자체사업 ‘한국 채소의 몽골 노지재배 환경 적응성 시험’ 참여 농가 방문 및 종자배부

Posted by kopia_mongolia
2018. 5. 21. 15:25 진행 사업/- 자체사업 -

  지난 2018517KOPIA 몽골 센터(소장 최만영)에서는 KOPIA 몽골 센터 자체사업인한국 채소의 몽골 노지재배 환경 적응성 시험참여 농가에 방문했습니다.

   KOPIA 몽골 센터 자체사업 한국 채소의 몽골 노지재배 환경 적응성 시험은 한국산 채소종자를 대상으로 몽골 내 자체적인 농산물 및 종자 공급과 몽골환경에 적합한 종자 개발을 위해 2017년도부터 진행되어오고 있는 사업입니다.

  이번 방문은 참여 농가의 현황 점검 및 종자 배부를 위해 방문했습니다.

  참여농가의 위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번 참여 농가는 지난해 사업에 참여한 농가 9곳 중 성과가 우수한 농가 4곳을 선정했습니다.

종자의 경우 양파, 배추, 청경채, 청상추, 김장무 총 5개의 공통 종자를 배부했고 그 외에 고추, 수박, 오이, 브로콜리, 시금치를 선택종자로 선정해 그 중 농가가 원하는 종자를 추가적으로 배부했습니다. 선택종자 중 비교적 시금치와 브로콜리의 선호도가 높았습니다.

 

 

  이번 방문을 통해 농가의 현황파악 및 현장교육으로 농가의 궁금증 및 문제점까지 해소할 수 있었던 시간이었으며 지난해 사업성과 및 결과를 토대로 더욱 더 세밀한 점검과 농민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 등을 진행하여 올해도 사업을 잘 이끌어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KOPIA 몽골 센터 연수생 임지민

 

 

 

태그: KOPIA, kopia, 몽골센터, 자체사업, 한국채소, 종자, 적응성, 시험, 방문, 농업

KOPIA 몽골 센터 제 8 사업‘한국 양파의 몽골 적응성 품종 선발, 농가 실증 및 보급’현장 방문

Posted by kopia_mongolia
2018. 5. 16. 11:42 진행 사업/양파 품종 선발

  지난 2018512KOPIA 몽골 센터(소장 최만영)에서 제 8 협력사업인한국 양파의 몽골 적응성 품종 선발, 농가 실증 및 보급현장에 방문했습니다.

8 사업한국 양파의 몽골 적응성 품종 선발, 농가 실증 및 보급은 현재 다르항(Darkhan)에 위치한 IPAS의 내부 온실과 IPAS에서 45km 거리에 위치한 시험포장에서 진행하고 있으며 몽골에 적합한 한국 양파 품종 선발과 재배방법 및 기술을 개발하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먼저 출장 1일차에는 IPAS 내부 온실에 방문했습니다. 현재 온실에서는 한국품종(14)과 이미 몽골에서 적응성 시험으로 검증된 독일품종(Schtutgarter rezin)과 러시아품종(Byessonovskii)42021일에 파종하여 육묘 중이었으며 그 중 한국품종 중 하나인‘K-star’가 가장 먼저 발아 되었습니다.

 

 

 

  출장 2일차에는 Orkhon IPAS 시험포장을 방문했습니다. 이곳에서는 온실과 재배품종은 같지만 재배방법을 달리하여 어떤 방법이 몽골에 더욱 더 적합한지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파종을 준비 중이었습니다.

 

 

 

  현재 몽골 채소 생산량은 몽골 채소 수요의 50%이고 양파의 경우 44.9% 정도 충족한다고 합니다. 양파 재배면적을 늘리고 있지만 몽골은 겨울이 매우 길고 재배기간이 짧으며, 양파의 저장성이 좋지 않아 여전히 많은 수요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더욱 더 사업의 중요성을 깨닫고 근본적인 원인을 개선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을 모색하는데 주력해야합니다.

  이번 방문을 통하여 사업의 목적에 도달하기 위한 많은 노력들을 알 수 있었으며 KOPIA 몽골 센터에서도 해당사업에 대한 더 많은 관심과 사업추진에 힘쓰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KOPIA 몽골 센터 연수생 임지민

 

 

 

태그:KOPIA, kopia, 몽골센터, IPAS, 양파, 품종선발, 파종, 현장방문, 다르항, 농업

 

 

KOPIA 몽골 센터 제 6 사업 ‘우수 밀 품종의 증식 및 보급 종 생산 시범사업’ 현장 방문

Posted by kopia_mongolia
2018. 5. 16. 11:29 진행 사업/우수 밀

  지난 201851KOPIA 몽골 센터(소장 최만영)에서 제 6 협력사업인우수 밀 품종의 증식 및 보급종 생산 시범사업현장에 방문했습니다.

  우수 밀 사업은 현재 제 1 사업인밀 우수품종 종자증식 시범사업 및 품종육성의 품종선정 및 육성 결과를 바탕으로 셀렝게(Selenge), 볼강(Bulgan), 홉스골(Khuvsgul), 투브(Tuv), 다르항올(Darkhan-Uul)지역에 위치한 6개의 선정농가에서 몽골 품종 Darkhan-131, Darkhan-166, Darkhan-144, Darkhan-34을 각각 파종 및 재배 중이며, 이번에 방문한 다르항 IPAS 우수 밀 시험포장에서는 추가적으로 한국 품종의 몽골 적응성 시험을 위하여 몽골 품종인 Darkhan 144와 한국 품종(28)의 비교연구를 위한 파종을 진행 중이었습니다.

 

 

  현재 우수 밀 사업은 제 1 사업인밀 우수품종 종자증식 시범사업 및 품종육성부터 진행되어 현재 6 사업우수 밀 품종의 증식 및 보급 종 생산 시범사업까지 약 4년째 진행되고 있으며 여러 성과를 도출해내고 있는 사업입니다. 현재까지 사업을 잘 이끌어 나가기 위해 노력해주신 많은 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전하며 저희 KOPIA 몽골 센터에서도 앞으로 우수 밀 사업추진에 더욱 더 박차를 가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KOPIA 몽골 센터 연수생 임지민

 

 

 

태그: KOPIA, kopia, 몽골센터, IPAS, 우수 밀, 다르항, 한국품종, 비교재배, 파종, 현장방문

 

 

KOPIA 몽골 센터 제 6 사업‘우수 밀 품종의 증식 및 보급 종 생산 시범사업’사업소개

Posted by kopia_mongolia
2018. 5. 16. 10:24 진행 사업/우수 밀

1. 사업소개

 1) 사업 명

  ❍ 우수 밀 품종의 증식 및 보급 종 생산 시범사업

 2) 사업기간

  ❍ 2017. 1. 1. 2019. 12. 31.

 3) 사업목표

  ❍ 우수 밀 품종 증식 (고품질, 내건성, 생산성, 내병해충 등)

  ❍ 우수 밀 종자 증식 :(17) 105 ton(18) 105(19) 105

  ❍ 우수 품종의 보급종 생산량: (17) 0.8ton(18) 195 (19) 1,275

  ❍ 우수품종 보급 면적 (17) 0.8ha(18) 186 (19) 1,215

  ❍ 한국 종자 유전자원 교환 교배종 : 10

  ❍ 교육실적 : (17) 3(18) 3(19) 3

 

2. 협력기관 소개 및 사업 책임자 소개

 1) 협력기관 소개

  ❍ IPAS(Institute of Plant Agricultural Science)

몽골생명과학대학(MULS) 산하 기관이며, 몽골정부의 농업분야정책수립에 따른

농업에 관한 종합적인 연구 및 업무를 시행하는 기관

   

 

   - 기관연혁

    ⦁ 1948: Burgaltai솜에 농업 연구소 설립

    ⦁ 1963: Zuunkharaa 아이막으로 이전, 식물과학연구소로 기관명 변경

    ⦁ 1977: Darkhan-Uul 아이막으로 이전

    ⦁ 1993: 식물교육과학연구소로 기관명 변경

    ⦁ 2015: 식물과학연구소로 기관명 변경, 몽골생명과학대학(MULS) 산하기관으로 편성

  - 주요업무

    ⦁ 작물재배기술 및 새로운 작물품종 개발

    ⦁ 작물저장연구 및 외국품종 현지 적응화

    ⦁ 종자생산

    ⦁ 퇴비 개발 및 생산

    ⦁ 토양 비옥도 상태 개선 관리

  2) 사업 책임자 소개

          

 

3. 사업의 중요성

 1) 산업적 중요성

  ❍ 춘파소맥(spring wheat)용 종자지원으로 고품질 밀 생산 20~30% 증가함에 따른 몽골

        농업 수준 향상

  ❍ 고용증가 및 농가 소득 증진으로 삶의 질 향상

 2) 경제적 중요성

  ❍ 우수종자생산이 확대됨으로써 생산량 3배 증가

  ❍ 재배기술 및 품종을 제공함으로써 작물의 생산성 향상으로 인한 농가 소득 증진

 3) 기술적 중요성

  ❍ 농가에 종자생산기술 및 검증된 품종을 제공함으로써 자체적인 종자보급 능력 및 기술 배양

  ❍ 우수종자 생산기술도입을 통해 6 종의 초우수종자 생산기술 확립

 

4. 성과

  ❍ 우수종자 생산 : Darkhan-160(Arvin), 144, 131, 34 4품종

    - 초우수종자 22.5, 우수종자 100톤 생산/130ha(휴경지)

  ❍ 지역별 적합 품종 선발

    - 4지역(흡수골, 볼강, 셀렝가, 다르항), 6품종 품종별 4.8ha 재배

    - 조생종 3품종(Darkhan-131, 160, 172), 중생종 3품종(Darkhan-34, 166, 79), 만생종 2품종(Darkhan-144, 181) 선발

    - 지역별 품종별 수량

    - Field day를 통한 품종 중요성 홍보

 

 

5. 올해 사업추진 계획

  ❍ 지역 확대 및 3개 농가·업체 추가 선정

  ❍종자증식업체 186ha 면적에서 우수종자 30ton 파종

  ❍ 종자증식업체에서 우수종자 정립 총 195톤 수확(65ton×3)

  ❍ 종자증식업체 우수종자 보급 30ton

     - 선정품종: 28(올 밀, 그루밀, 다홍밀, 청계밀, 은파밀, 탑동밀, 남해밀, 우리밀, 올그루밀,

                                            알찬밀, 고분밀,  서둔밀, 금강밀, 새올밀, 진품밀, 밀성밀, 조은밀, 조품밀,

                                            안백밀, 신미찰밀, 조농밀, 조경밀, 연백밀, 신마찰1, 백중밀, 적중밀,

                                            수강밀, 한백밀)

   - 몽골 환경 적응성 시험 및 품종선별

 

 

KOPIA 몽골 센터 연수생 임지민

 

 

 

태그: KOPIA, kopia, 몽골센터, IPAS, 우수밀, 품종증식, 시범사업, 다르항, 협력사업, 농업

KOPIA 몽골 센터 제 9 사업‘한국 방울토마토의 몽골 적응성 품종 선발, 농가실증 및 보급’사업 소개

Posted by kopia_mongolia
2018. 5. 15. 17:09 진행 사업/방울토마토 품종 선발

1. 사업소개

 1) 사업 명

  ❍ 한국 방울토마토의 몽골 적응성 품종 선발, 농가실증 및 보급

 2) 사업기간

  ❍ 2018. 1. 1. 2020. 12. 31.

 3) 사업목표

  ❍ 몽골 토양 및 기후 환경에 적합한 방울토마토 신품종 개발을 통하여 종자 증식 및 국내 소비 수요 충족

  ❍ 한국 방울토마토 품종 시험 및 신품종 개발을 통하여 몽골 국가품종시험위원회에 단계적인 등록을 하고 몽골의 채소 종자생산 기반구축에 기여

 

2. 협력기관 소개 및 사업 책임자 소개

 1) 협력기관 소개

  ❍ 몽골생명과학대학교 농생태대학 (School of Agroecology, MULS)

   - 기관연혁

    ⦁ 1942: 몽골국립대학교 수의대학 개설

    ⦁ 1943: 몽골국립대학교 농업기술대학 개설

    ⦁ 1949: 몽골국립대학교 농업대학 개설

    ⦁ 1957: 농업대학 폐과, 몽골국립대학교 농업경제대학 개설

    ⦁ 1958: 사립대학으로 변경 및 몽골생명과학대학교로 대학 명 변경

    ⦁ 1960: 몽골생명과학대학교 농업엔지니어-기술대학 개설

    ⦁ 1961: 농업연구소 설립

    ⦁ 1963: 작물연구 및 농업연구소 설립

    ⦁ 1967: 몽골생명과학대학교 경영대학 개설

    ⦁ 1968: 목초 및 사료 연구소 설립

    ⦁ 1987: 수의학 연구 및 가축병원 설립

    ⦁ 1990: 몽골산업대학교로 대학 명 변경

    ⦁ 1992: 식물보호연구소개설

    ⦁ 1993: 몽골생명과학대학교로 대학 명 변경

    ⦁ 2009: 농업과학아카데미 설립

 

 2) 사업 책임자 소개

 

3. 사업의 중요성

 1) 산업적 중요성

  ❍ 몽골 종자 공급 시스템 개선

  ❍ 경작지의 이용 개선

  ❍ 몽골의 채소품종 육성산업 기반조성에 기여

 2) 경제적 중요성

  ❍ 우수품종 농가 실증 및 재배 교육 실시를 통해 농가 수확량 20% 증가

  ❍ 우수품종 생산 및 종자 증식으로 인해 농가 소득향상에 기여

 3) 기술적 중요성

  ❍ 토마토 품종 선발 및 시설재배기술 향상

  ❍ 육성품종 재배를 통한 재배 신기술 및 병해충 관리기술 습득

  ❍ 품종 육성 및 종자 증식기술 습득

 

4. 올해 사업추진 계획

  ❍ 한국 방울토마토 510 품종에 대한 몽골품종과 비교 선발

    - 수량, 품질, 적응성 검토

  ❍ 재배기술 적용 및 농업인 교육

    - 파종, 육묘, 이식, 시비관리, 병해충관리, 토양비옥도 관리, 수분관리

    - 착과율 증진: 착사업 , 수정벌 활용

    - 생리장해 진단 및 피해감소 기술

    - 병해충 종류 및 발생 시기 조사

 

 

 

KOPIA 몽골 센터 연수생 임지민

 

 

 

태그: KOPIA, kopia, 몽골, 협력사업, 한국, 방울토마토, 품종선발, 농업, MULS

KOPIA 몽골 센터 제 10 사업‘비육우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맞춤형 사양 기술 적용’ 사업소개

Posted by kopia_mongolia
2018. 5. 14. 11:52 진행 사업/비육우 사양 기술 개발

1. 사업소개

 1) 사업 명

  ❍ 비육우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맞춤형 사양 기술 적용

   ­-   비육우의 겨울철 사료 보충급여 시스템 개발

   - 목초 종자의 보파 및 윤환 방목으로 정착형 사양 기술 개발

 2) 사업기간

  ❍ 2018. 1. 1. 2020. 12. 31.

 3) 사업목표

  ❍ 몽골의 혹독한 기후에서 육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적합한 겨울 급여 체계 선택

  목초 종자 파종을 통하여 사료 자원을 늘리고 종자 자원 확립

 

2. 협력기관 소개 및 사업 책임자 소개

 1) 협력기관 소개

  ❍ 몽골생명과학대학교(MULS)

   - 기관 연혁

     ⦁ 1942: 몽골국립대학교 수의대학 개설

     ⦁ 1943: 몽골국립대학교 농업기술대학 개설

     ⦁ 1949: 몽골국립대학교 농업대학 개설

     ⦁ 1957: 농업대학 폐과, 몽골국립대학교 농업경제대학 개설

     ⦁ 1958: 사립대학으로 변경 및 몽골생명과학대학교로 대학 명 변경

     ⦁ 1960: 몽골생명과학대학교 농업엔지니어-기술대학 개설

     ⦁ 1961: 농업연구소 설립

     ⦁ 1963: 작물연구 및 농업연구소 설립

     ⦁ 1967: 몽골생명과학대학교 경영대학 개설

     ⦁ 1968: 목초 및 사료 연구소 설립

     ⦁ 1987: 수의학 연구 및 가축병원 설립

     ⦁ 1990: 몽골산업대학교로 대학 명 변경

     ⦁ 1992: 식물보호연구소개설

     ⦁ 1993: 몽골생명과학대학교로 대학 명 변경

     ⦁ 2009: 농업과학아카데미 설립

 

  ❍ 몽골생명과학대학교 산하기관 몽골축산연구소(RIAH)

     가축의 유전자 풀(gene pool)을 보호하기 위해 생물학적 자원을 활용 및 연구하며 유전학, 생명공학 등 첨단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높은 생산성의 가축을 생산하는 등 몽골 축산에 관련된 종합적인 업무수행

   - 기관연혁

    ⦁ 1944: 농업과학원 설립

    ⦁ 1948: Burgaltai솜에 국영목장 설립

    ⦁ 1951: 몽골농업과학원으로 기관명 변경

    ⦁ 1963: 몽골축산과학원으로 기관명 변경

    ⦁ 1977: 축산연구소로 기관명 변경

   - 주요업무

    ⦁ 조사료 품질 향상 기술개발

    ⦁ 기후변화 대비 작물 개발

    ⦁ 고생산성의 작물 개발

    ⦁ 조사료 재배 기술 개발

    ⦁ 작물 및 초지 연구 및 관리

 2) 사업 책임자 소개

 

3. 사업의 중요성

 1) 산업적 중요성

  몽골 농업생산액 41,517중에 축산업이 34,961으로 84.2. (2016, 통계청)

  ❍ 유목 방식에서 정착형 축산으로 변화시키는 농업 정책 수립 (2016,MOFALI)

 2) 경제적 중요성

  선정한 농가의 전체 육류 생산을 5 20% 상승 (20185%, 201910%, 202020%)

  급여 기술과 생산 품질을 향상시킴으로써 소고기 단가 25%까지 상승

 3) 기술적 중요성

  집약적 농가의 가축을 위한 겨울 급여 체계 개발

  농가들에게 기술 보급을 위한 모델 농장 설립

  적절한 목초지 순환 기술을 통해 목초지 관리 수월

 

4. 올해 사업추진 계획

  몽골생명과학대학교(MULS)

    - 2개의 적합한 농가 선정

    - 선정한 농가의 비육우 급여 평가

    - 겨울 급여 체계 개발

    - 선정품종: 귀리, 알팔파, 호밀, , 수수, 완두, 흰정동싸리

  몽골축산연구소(RIAH)

    - 사료작물 파종을 위한 포장 준비

    - 선정품종: 귀리, 알팔파, , 보리, 옥수수, 완두, 흰정동싸리

    - 40ha 울타리 설치

 

 

KOPIA 몽골 센터 연수생 임지민

 

 

태그: KOPIA, kopia, kopia몽골센터, 몽골, 협력사업, 비육우, 사양기술, 개발, 사업소개

 

 

KOPIA 몽골 센터 제 8 사업 '한국 양파의 몽골 적응성 품종 선발, 농가 실증 및 보급' 사업 소개

Posted by kopia_mongolia
2018. 5. 14. 11:35 진행 사업/양파 품종 선발

1. 사업소개

 1) 사업 명

  ❍ 한국 양파의 몽골 적응성 품종 선발, 농가실증 및 보급

 2) 사업기간

  ❍ 2018. 1. 1. 2020. 12. 31.

 3) 사업목표

  ❍ 한국 양파의 몽골적응성 품종 선발

  ❍ 몽골 적응성 양파 품종의 재배기술 개발

  ❍ 몽골 적응성 양파 품종의 우수 종자 생산

  ❍ 몽골 적응성 양파 품종의 품종등록 및 농가실증, 보급

  ❍ 관련 공무원, 벼 재배농민들에게 시범포 연시, 평가를 통한 기술교육 확산

 

2. 협력기관 소개 및 사업 책임자 소개

 1) 협력기관 소개

  ❍ IPAS(Institute of Plant Agricultural Science)

몽골생명과학대학(MULS) 산하 기관이며, 몽골정부의 농업분야정책수립에 따른 농업에 관한 종합적인 연구 및 업무를 시행하는 기관

 

   - 기관연혁

    ⦁ 1948: Burgaltai솜에 농업 연구소 설립

    ⦁ 1963: Zuunkharaa 아이막으로 이전, 식물과학연구소로 기관명 변경

    ⦁ 1977: Darkhan-Uul 아이막으로 이전

    ⦁ 1993: 식물교육과학연구소로 기관명 변경

    ⦁ 2015: 식물과학연구소로 기관명 변경, 몽골생명과학대학(MULS) 산하기관으로 편성

   - 주요업무

    ⦁ 작물재배기술 및 새로운 작물품종 개발

    ⦁ 작물저장연구 및 외국품종 현지 적응화

    ⦁ 종자생산

    ⦁ 퇴비 개발 및 생산

    ⦁ 토양 비옥도 상태 개선 관리

 

 2) 사업 책임자 소개

 

 

3. 사업의 중요성

 1) 산업적 중요성

  ❍ 국산 품종 보금 확대 및 재배품종 다양화

  ❍ 양파 재배확대로 작부체계 다양화 및 토양비옥도 증진 효과

 2) 경제적 중요성

  ❍ 신품종 재배를 통한 양파 생산성 향상: 15~20%

  ❍ 수입 종구에 대한 대체효과로 몽골 외화 절감: 20%

 3) 기술적 중요성

  ❍ 품종 선발, 재배기술 개발 등 연구능력 및 기술수준 향상

  ❍ 양파 종자 생산기술 향상

 

4. 올해 사업추진 계획

 ❍ 몽골 적응성 한국 양파 품종 선발

  - 선정품종: 14(신황후, 굿모닝, 리치홍, 당당한, e조은플러스, 케이스타, 케이맥스,

                                  미들황, 농우대고, 홍반장, 몬스터, 킹콩, 2014-2, 2014-6)

   - 한국 양파 품종과 몽골 대조 품종 간 수량성, 품질, 재배특성 등 비교

   - small onion 생산(품종별 종구 생산)

 ❍ 시기별 병해충 발생 모니터링 및 적정 방제기술 적용

 

 

 

 

KOPIA 몽골 센터 연수생 임지민

 

 

 

태그: KOPIA, kopia, 몽골, 협력사업, 양파, 적응성, 품종선발, 사업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