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PIA 몽골 센터 자체과제 4차 농가 점검

Posted by kopia_mongolia
2017. 9. 4. 14:11 진행 사업/- 자체사업 -

  지난 825KOPIA 몽골 센터(대표 홍성구)에서는 KOPIA 몽골 센터의 자체과제한국 채소의 몽골 노지재배 적응성 시험4차 농가점검을 다녀왔습니다. 8곳의 농가를 점검하였으며 KOPIA 몽골 센터의 과제를 수행하고 있는 농가의 위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몽골은 아침저녁으로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기에 대부분의 채소들은 수확기에 접어들었습니다. 이에 따라 채소 별 수확법 지도와 함께 김치 등의 채소를 활용한 요리법 유인물을 배부하였습니다.

 

 

  또한 과제 마무리 단계에 접어듦에 따라 과제 수행 농민들에게 과제 추진 시 애로사항이나 힘들었던 점, 2년차 과제 참여 의사, 개선점, 바라는 점 등 인터뷰를 통해 소통의 시간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대부분 가장 힘들었던 점으로 파종 전 경운 등 토양 준비단계를 꼽았으며 그 외 바라는 점으로는 몽골에서 소비가 큰 양배추, 비트 등의 채소를 추가했으면 좋겠다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또한 한국 고구마에 대한 관심도 높아, 내년도 자체과제 추신 시 의견을 반영하기로 했습니다.

 

  수확한 채소의 데이터 수집을 위해 농가 별 채소 생육조사 수행하였습니다. 대표적으로 재배 우수농가의 생육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지난 농가 점검 시 알타리 무를 밀식 재배하였던 농가에게 재식거리 지도를 하였는데 그 후 재식거리를 준수하여 다시 파종한 알타리 무를 수확하였습니다. 재식거리 뿐만 아니라 두둑을 쌓아 적절한 방법으로 재배한 알타리무는 그 전의 재식거리를 준수하지 않고 평평한 땅에 파종하였던 알타리 무와 확연한 생육 차이를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는 기회여서 농민들에게도 채소 재배에 있어서 올바른 재배법에 관한 이해를 도울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수확을 하고 보니 일부 농가에서 병해충 피해, 냉해 및 생육장해 가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주로 무 배추 등 십자화과 채소의 해충피해가 크며 급격한 기온 감소로 인해 깻잎에서는 냉해가 발생하였습니다. 알타리 무의 경우 미량원소(붕소) 결핍으로 인한 속빔 현상도 관찰되었습니다. 이와 같은 생육장해는 2년차 과제 수행 시 반영하여 반복되지 않도록 하며 보다 정확한 과제 수행을 위해 원인과 해결법을 분석해야 합니다.

 

  농가 점검 후 KOPIA 몽골 센터에서는 농가별 진행상황 및 관련사진을 첨부한 자체과제 진행 현황 표를 업데이트하고 기록지를 작성합니다. 수확이 끝나면 농가별 현황 기록표를 수거하고 데이터를 수집을 통해 올해 몽골 센터의 첫 자체과제 데이터를 분석 후 내년도 과제 추진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현지 지도조사원인 몽골생명과학대학 원예학과 Tserentogtokh교수는 PPT 발표로 4차 현장 점검 결과 보고하는 시간을 가지며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의 채소 전문가 초청 활용을 통하여 2년차 과제의 방향 및 개선점 등을 협의 할 예정입니다.

 

  척박한 몽골 토양에서도 한국 채소종자의 재배, 수확을 통해 채소 재배의 가능성을 확인하였습니다. 예상하지 못한 부분이나 다른 환경으로 인한 문제점 등을 잘 분석하고 해결하여 몽골의 채소 자급을 위해 더욱 노력하는 KOPIA 몽골 센터가 되겠습니다.

  

KOPIA 몽골 센터 선임연구원 한소예

 

 

태그 : 몽골, 노지재배, KOPIA, 코피아, KOPIA 몽골 센터, 알타리무, 시금치, 대파, 양파, 배추, 당근, 무, 청경채, 깻잎, 채소재배, 농촌진흥청, RDA, 자체과제, 노지적응성시험, 한국채소

KOPIA 몽골 센터 제 6과제 우수 밀 보급종 생산 시범 사업 현장 방문

Posted by kopia_mongolia
2017. 8. 16. 18:34 진행 사업/우수 밀

  지난 201789~1234일간 KOPIA 몽골 센터(대표 홍성구)에서는 제 6과제인 우수 밀 품종의 증식 및 보급종 생산 시범사업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KOPIA 몽골 센터의 제 6번 협력과제(우수 밀)2014년도에 진행되었던 몽골센터의 제 1번 과제인밀 우수품종 종자증식 시범사업 및 품종육성에서 우수 밀 품종을 선정·육성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별 농가와 종자증식업체로 보급 후 품종 별 적응성 및 생육 상태를 파악하고 있습니다.

 

 

  이번 출장은 고도 및 기후환경이 다른 홉스골, 셀렝게, 볼강 3지역에서 증식 중인 밀 재배 사업장을 방문하기 위한 왕복 약 2,000Km의 장거리 출장으로 34일간의 출장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정표>

 

  먼저 출장 1일차 일정으로 셀렝게 지역에서 실시되는 밀 재배법 현장교육장에 도착하였습니다. 밀 과제 협력기관인 식물과학연구소(IPAS)에서 해당 지역 농민들을 대상으로 한 밀 신품종 재배 교육 진행하였으며 종자의 지역 별 고도에 따른 조··만생종 적응성 및 생육상태 비교를 한눈에 보기위해 사업이 실시되고 있는 3가지 지역(84홉스골 지역, 8월 일 볼강 지역, 86일 셀렝게 지역)에서 3회의 교육을 진행 하였습니다.

 

 

  교육현장의 모니터링을 위해 도착한 셀렝게 지역의 교육 현장에서는 총 4가지의 우수 밀 품종(Drkhan-131, Drkhan-166, Drkhan-34, Drkhan-144)을 재배 중 이었으며 한 품종 당 2Plot재배, Plot 당 면적은 0.5ha(너비 2m, 길이 2.5Km)로 품종 당 1ha 씩 재배하고 있었습니다. 각 지역에서 같은 날, 같은 조건에서 파종한 4가지 우수 밀 품종의 생장률과 적응성을 한눈에 비교할 수 있는 자리였으며 농가들에게 몽골환경에 적응한 신품종을 소개하고 종자의 중요성을 인식하게끔 하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교육 현장을 방문 한 다음으로는 실제 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사업현장을 점검하였습니다. KOPIA 몽골 센터의 제 6과제의 목적은 몽골 환경에 적합한 종자를 택하여 업체와 농가에 보급 및 증식함에 있습니다. 이를 위해 홉스골, 볼강, 셀렝게 세 지역에서 해당 지역의 환경에 적합한 종자를 선택하여 증식 하며 고도 및 습도·온도 등 환경이 다른 각 재배지에서의 품종 적합성 관찰 및 생장률 비교합니다.

 

 

이번 출장으로 조사한 지역 별 종자 증식 현장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볼강 아이막

(농가)

홉스골 보다 지대가 낮으며 기온이 높고 습도가 낮음.

6가지 밀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하고 있으며 48%~63.2%의 낮은 발아율을 보임.

셀렝게 아이막

(농가)

5가지 품종을 재배하였으며 품종 당 1ha, 5ha를 파종함. 지형 상 홉스골볼강셀렝게다르항으로 갈수록 습도가 낮아지며 건조해짐.

홉스골 아이막

(종자 증식 업체)

UB로부터 약 700Km이격된 곳으로 Drkhan-34, Drkhan-144, Drkhan-131, Drkhan-160, Drkhan-166 등 조·중생종을 선택하여 재배중이며 재배 면적은 총 850ha로 수확량은 2,000(2.4/1ha)-20141ha 당 밀 생산량(한국 3.2, 일본 4, 출처:KOSIS)-정도로 예상됨. 홉스골 지역은 지역 특성상 병해충 피해가 없고, 가뭄의 정도가 타 지역에 비해서 덜하여 밀재배에 적합한 지역임

 

 

  세 가지 지역 중 홉스골 지역에서는 종자 증식 업체를 직접 방문하여 밀 재배 현황을 파악하고 사업장을 점검 할 수 있었습니다.

  2000년도부터 밀 사업을 시작한 홉스골 지역 종자증식 업체는 6년 전부터 Drkhan-131 품종을 재배하고 있었으며 올해 KOPIA 몽골 센터의 협력과제를 통해 IPAS로부터 4가지의 우수 밀 품종을 보급 받아 현지 적응성 시험 재배 중입니다.

 

 

  올해 몽골은 극심한 가뭄으로 인해 타 지역은 평년대비 20% 정도 수확량 감소가 예상 되지만, 이 업체는 종자의 선택의 중요성과 최신 재배 기술, 최신 농기계 도입으로 수확량 감소가 거의 없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본 업체의 밀 품종별 재배 결과, Drkhan-131는 냉해 저항성으로 인해 수확량 손실이 없으며, 고산지대 적응 조생종으로 홉스골 지역에 가장 적합한 품종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Drkhan-144의 경우 수확량이 양호하나 Drkhan-160은 홉스골 지역에 적합하지 않은 품종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이 회사는 밀 파종 전 종자 소독을 실시함과 동시에 밀의 뿌리 발달에 도움이 되는고마틴이라는 러시아 비료를 기비와 추비로 2회 사용하고 있으며, 신식 농기계 및 신품종, 신기술도입의 중요성을 높이 평가하고 있었습니다.

 

 

  사업장을 점검 한 후 몇 가지 질의응답의 시간을 가졌습니다. 업체 관계자는 밀 재배 시 가장 어려운 부분으로 가뭄을 꼽았으며 2012년도의 전국적 대 가뭄이후 가뭄 대비 내건성 종자 및 최신 재배기술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한편 다른 농가들은 품종의 중요하다고 생각은 하고 있지만, 1ton 800,000(투그릭)이 비싸다고 생각하여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로 인해 올해 심한 가뭄으로 인해 종자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한 농가는 모두 밀의 생산량이 크게 감소하였습니다.

 

  이러한 가뭄 등 자연재해에 따른 몽골 정부의 보상은 매우 미비하다고 합니다. 본 농가는 2012년도에 극심한 가뭄으로 인해 큰 손해를 본 후 Drkhan-131을 재배하기 시작하였는데, 그에 따른 정부의 보상은 없었으며 보험 측면에서도 밀 사업은 리스크가 크다고 판단되기 때문에 보험의 보상을 기대하기 또한 어려운 실정입니다. 따라서 본 회사는 2012년도부터 미국, 캐나다의 신식 농기계로 교체하고 내건성 밀 종자를 도입해 수확량이 유지되고 있다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농장 관계자는“KOPIA 몽골센터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에 사업 및 지원을 하고 있어서 감사하다.”라는 말을 전했습니다.

 

 

   종자생산은 식량 생산량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생산성 증가는 농민의 직접적인 소득 증가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그 중요성이 가지는 무게를 인식하여야 합니다.

  밀 사업은 축산업을 제외한 몽골 농업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몽골 정부에서 지원해주는 종자 또한 모두 러시아 종자이며 숙기가 110일 정도 걸리는 만생종이라 재배 시기가 짧은 몽골 환경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특히나 올해와 같은 가뭄이 지속된다면 몽골 농민들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몽골 농업 전체가 받는 타격은 상당할 것입니다. 하루 빨리 가뭄과 냉해에 저항성을 가진, 몽골환경에 적합한 밀 품종이 보급되어야 합니다.

  저희 KOPIA 몽골 센터에서는 이번 출장 향후 계획으로 몽골 식량농업부의 가뭄 대책 협의회 결과를 수신 및 분석할 것이며 IPAS와의 협력과제를 통해 지역별 적응성 및 생장률 비교를 통한 생장 부진 원인 분석 및 적합한 품종 선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몽골 농업의 발전과 함께 몽골 농민들의 소득 증대를 위해 더욱 노력하는 KOPIA 몽골 센터가 되겠습니다.

 

 

 

 

2017. 8. 16.

KOPIA 몽골 센터 선임연구원 한소예

 

태그 : KOPIA, 코피아, 농촌진흥청, RDA, 밀, 우수밀 종자, 몽골, IPAS, 보급종, KOPIA 몽골 센터, 홉스골, 셀렝게, 볼강

 

 

KOPIA 몽골 센터 자체과제 참여농가 방문 및 점검

Posted by kopia_mongolia
2017. 6. 9. 11:24 진행 사업/- 자체사업 -

  지난 67KOPIA 몽골 센터(대표 홍성구)에서는 KOPIA 몽골 센터의 자체과제 한국 채소의 몽골 노지재배 적응성 시험에 참여하는 농가를 방문하였습니다. 이번 첫 농가 방문을 통해 노지 경운작업과 지난 재배법 교육 때 나눠준 한국채소종자의 파종 진행 상태를 점검하였습니다.

  총 7농가를 방문 하였으며 참여농가의 재배지 위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모든 농가가 경운작업을 완료하였고, 또한 한 농가를 제외하고는 모두 채소종자를 파종하였습니다. 파종방법이 한국의 채소재배법과 달라 일부 농가는 나눠준 종자양이 부족하다고 건의 하였습니다.

 

 

  참여농가의 재배지에는 지하수에서 물을 끌어와 관수를 할 수 있도록 관수시설이 설치되어 있었고 짐승피해를 막기 위해 울타리가 설치되어 있었으며, 대부분 온실재배를 함께하고 있었습니다. 또한 참여농가들은 다년간 농사를 지어 오고 있어 노지에 야생 대파나 양배추, 다른 나라의 채소 종자를 재배하고 오이, 토마토, 상추 등을 온실에서 재배하고 있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울타리를 따라 비타민나무, 소나무 등의 나무를 심고 야생화를 텃밭에 심어 텃밭을 더욱 풍성하게 꾸미고 있었습니다.

 

 

 

 

 

  지난 재배법 교육에 참여하지 못한 농가에는 농기구와 한국채소종자를 제공하고 계약서를 작성하였으며, 국립몽골농업대학교 원예학과 교수님께서 이랑 만드는 방법을 현장지도 해주셨습니다.

 

 

 

  이번 방문을 통해 참여 농가를 직접 확인하면서 농가의 농사경험이나 기상환경, 재배현황을 직접 듣고 자체과제 진행 상태를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재배 현황 표를 작성하고 방문마다 기록한 참여 농가의 재배현황을 정리하여 한국 채소품종이 몽골 재배환경에서 어떻게 자라나는지 확인하며, 적절한 재배방법을 찾아 나갈 것입니다.

  다음번 방문 시에는 한국 채소종자를 재배하고 있는 농가라는 것을 알릴 수 있도록 KOPIA 몽골 센터 자체과제 참여 농가라는 팻말을 만들어 각 농가에 팻말을 붙일 계획입니다.

 

 

 

  몽골에서 다년간의 재배경험을 가진 참여 농가들이 제대로 농사를 짓는 것을 보고 파종한 채소들이 수확시기에 어떻게 자라나게 될지 기대가 되며, 몽골 환경에서 성공적으로 자라 앞으로 몽골에도 한국 채소종자가 확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KOPIA 몽골 센터 연수생 옥희경

 

 

태그 : 몽골, KOPIA, 코피아, 코피아 몽골 센터, 채소재배, 한국채소품종, 몽골 환경, 몽골 기상환경, 농촌진흥청 kopia 관수시설,

        온실, 몽골야생화, 비타민나무, 차차르강, 소나무, 몽골채소, 중국식온실, 몽골 노지재배, 농촌진흥청, RDA, 몽골 울란바토르, 몽골 자이승, 몽골 울짓트

몽골에서 한국 채소 재배하는 은혜농장 방문

Posted by kopia_mongolia
2017. 6. 2. 15:52 진행 사업/- 자체사업 -

  지난 2017522() KOPIA 몽골 센터(대표 홍성구)는 울란바토르에서 북쪽 다르항 방향으로 150km 떨어진 은혜농장에 다녀왔습니다. 몽골에서 재배하기 힘든 한국 채소품종의 재배 현장을 보고 재배방법에 대한 도움을 얻음으로써 앞으로 진행될 KOPIA 몽골 센터의 자체과제인 한국 채소의 몽골 노지 재배 환경 적응성 시험에 반영하기 위하여 방문 하였습니다.





  전체 재배면적 700ha, 하우스 1동 면적 : 44×7.712동을 소유한 은혜농장은 몽골에서 17년째 운영 중이며, 다양한 육종과 수많은 재배법 개발을 통해 몽골환경에 적응한 다양한 한국 채소품종을 재배 중입니다. 농장 울타리 안에는 하우스를 비롯한 여러 시설이 설치되어 있고, 계란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작년부터는 시험용 양계장을만들어 겨울에도 산란율을 높이기 위한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은혜농장의 하우스에서는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배추를 재배 중이고, 육묘장에서는 직접 육종한 황제참외, 쥬키니 호박, 깨를 키우고 있습니다. 또한 오이고추, 꽈리고추를 재배하여 개인이나 식당에 납품하고 생육기간이 긴 수박은 일찍 꽃피는 종자를 개발하여 농장에서 재배한 수박을 1kg4,000투그릭에 농장을 찾아온 손님들에게 판매한다고 합니다.

  은혜농장의 오랜 연구결과로써 몽골에서는 재배하기 힘든 사료용, 식용 옥수수와 사료용 해바라기를 재배에 성공하였습니다. 현재 은혜농장에서는 몽골의 짧은 여름동안 재배하여 8월말 수확이 가능한 종자를 개발 중이며, 긴 겨울동안 채소를 저장할 방법과 가공시설 개발방법을 찾고 있는 중입니다.




  KOPIA 몽골 센터의 자체과제인 한국 채소의 몽골 노지재배 환경 적응성 시험추진 시에 추천하는 채소품종은 내한성과 내건성이 우수한 쥬키니 호박 및 대파, 마늘, 당근, , 배추, 양배추, 양파, 순무, 비트라고 합니다

 

KOPIA 몽골 센터 운전·행정·통역원 맨드아마르

 

태그 : 몽골, kopia, 코피아, 코피아몽골, 코피아몽골센터, 몽골은혜농장, 몽골한국채소재배, 몽골 셀렝그도 바르하라, 몽골채소, 농촌진흥청, RDA, 몽골양계, 몽골비닐하우스

몽골 농가 한국 채소종자 재배법 교육

Posted by kopia_mongolia
2017. 5. 31. 12:58 진행 사업/- 자체사업 -

  지난 529KOPIA 몽골 센터(대표 홍성구)에서는 한국 채소종자를 재배할 9농가에 대한 재배법 교육이 있었습니다. 이번 재배법 교육은 KOPIA 몽골 센터의 2017년 자체과제로 수행하는 한국 채소의 몽골 노지재배 환경 적응성 시험사업에 있어 한국 채소종자 재배를 신청한 농가를 대상으로 KOPIA 몽골 센터 회의실에서 진행되었으며, 국립몽골농업대학교 원예학과 교수(Tserentogtokh.Kh PhD)가 몽골환경에 맞는 채소 재배법을 교육해 주었습니다.

  오후 2시부터 진행된 교육은 공통으로 재배할 5가지 품목인 당근, 대파, 총각무, 시금치, 배추의 재배법을 농민들에게 교육하였습니다. 교육이 끝난 후에는 채소 재배를 위한 종자와 농기구를 나누어 주었습니다.

 

 

 

 

  채소종자는 5가지 공통품목 외에 적상추, 양파, 청경채, 브로콜리, 청상추, 들깻잎, 오이, 김장무, 수박, 고추 중 각 농가가 원하는 2가지 채소종자를 선택하여 한 농가당 총 7가지 품목의 채소종자를 나누어 주었습니다.

 

 

 

 

  선택품목 중에서 농가선호도가 높은 품목은 들깻잎이었습니다. 깻잎은 독특한 향이 강하기 때문에 꺼려할 것이라고 생각 했었는데 거의 모든 농가가 선택한 것을 보고 몽골에도 들깻잎 재배를 알리고 이용 방법을 알리면 좋을 것 같다고 생각했습니다. 한편, 배추와 총각무는 현재 몽골인이 잘 섭취하는 채소는 아니지만 앞으로 신선 채소뿐만이 아닌 발효된 한국형 채소도 체험하도록 하여 동절기에도 채소를 계속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장기 포석의 일환입니다.

 

 

  농기구는 삽 3, 레기, 모종삽, 모종 심기, 양면 호미, 접이식 낫, 손 갈고리, 가위 총 10품목을 제공하였고, 일정량 이상의 성과를 도출하지 못한 농가는 KOPIA 몽골 센터에 반납하도록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530일 부터는 각 농가가 밭을 갈고 한국 채소종자를 밭에 파종하여 재배를 시작할 것입니다. KOPIA 몽골 센터에서는 주기적으로 각 농가를 방문하여 재배과정을 확인하며 재배기술을 교육할 계획입니다.

  KOPIA 몽골 센터가 제공한 한국 채소종자를 재배하는 몽골 농가를 시작으로 다양한 채소를 재배하는 몽골 농가가 늘어났으면 좋겠습니다. 그렇게 된다면 몽골국민들도 다양한 품목의 채소를 섭취할 수 있을 것이며, 더 나아가 풍부한 채소 섭취로 몽골국민 건강증진에도 기여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KOPIA 몽골 센터 연수생 옥희경

 

 

태그 : kopia, 몽골, 몽골채소, 코피아 몽골 센터, 코피아 몽골, 농촌진흥청, RDA, 한국 채소의 몽골 노지재배 환경 적응성 시험, 당근, 대파,

        총각무, 시금치, 배추, 적상추, 양파, 청경채, 브로콜리, 청상추, 들깻잎, 오이, 김장무, 수박, 고추, 농기구, 김치

몽골 튜브도 준모트시 강원도농업타운 방문

Posted by kopia_mongolia
2017. 5. 25. 15:29 진행 사업/- 자체사업 -

  지난 518KOPIA 몽골 센터(대표 홍성구)에서는 몽골의 채소 시설재배를 파악하기 위해 강원도농업타운에 방문하였습니다. 몽골 튜브도 준모트시에 위치한 강원도농업타운은 몽골의 낮은 재배기술로 불량한 생육상태를 확인한 강원도가 2003년부터 몽골 식품농업부와 농업기술교류협정을 체결하고 농업기술 지원을 위한 전문가 파견 및 시설을 지원해오고 있습니다.

 

 

 

  강원도농업타운은 강원도의 지원을 통해 노지뿐만 아니라 비닐하우스와 겨울온실을 설치하여 채소를 재배하고 있습니다. 또한 시설 내에 관수 및 난방 시설을 설치하여 시금치, 백합, 쥬키니 호박, 청경채, 수박, 양배추, 딸기 등 채소류 13작목을 재배하고 있습니다.

 

 

 

  특히 난방시설과 천장 보온시설을 갖춘 겨울온실은 몽골의 길고 혹독한 추위에도 채소재배를 가능하게 하고 있습니다. 겨울온실은 현재 오이와 딸기를 재배 하고 있었으며, 오이를 재배하는 하우스에는 한국 백오이품종과 몽골에서 수요가 많은 독일품종을 함께 재배하고 있습니다. 또한 같은 온실 내에 포도나무를 심어 시험재배 중이라고 합니다.

 

 

 

 딸기를 재배하는 겨울온실에는 한국품종산타를 재배하고 있습니다. 관리인께서 건내주신 잘 익은 딸기를 먹어보니 너무 달고 맛있었습니다. 들어보니 딸기의 당도가 9Brix를 넘는다고 합니다.

 

 

  강원도농업타운에서 수확한 채소들은 몽골의 식당이나 마트에 납품되고 있습니다. 딸기 같은 경우에는 다른 곳에서도 납품받기를 원하지만 수확량이 부족하여 몽골의 홈플라자, 굿프라이스 마트에만 납품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고기가 주식인 몽골에서도 점점 채소소비가 늘어나고 다양한 종류의 채소를 많은 이들이 찾고 있습니다. 이에 맞춰 몽골 채소 재배기술이 발전하여 더 많은 재배시설이 갖춰진다면 추운 몽골에서도 일년 내내 다양한 채소를 섭취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KOPIA 몽골 센터 연수생 옥희경

 

 

태그 : KOPIA 몽골 센터, 코피아 몽골, kopia, 몽골, 농촌진흥청, RDA, 강원도농업타운, 몽골채소재배, 몽골 겨울온실,

        몽골 비닐하우스, 몽골딸기, 몽골오이, 몽골채소, 몽골쥬키니호박, 튜브도 준모트시

KOPIA 몽골 센터 우수 밀 과제 홍보 영상

Posted by kopia_mongolia
2017. 1. 20. 11:35 진행 사업/우수 밀
 

KOPIA 몽골 센터(대표 홍성구)의 우수 밀 과제 홍보영상이 제작되었습니다.

 

KOPIA 몽골 센터의 대표 과제인 "밀 우수품종 종자증식 시범사업 및 품종 육성과제"

보다 쉽고 간단하게 알리고자 사진 위주로 영상을 제작하였으며,

현재 몽골의 농업 현황과 밀 현황 그리고 전반적인 과제 설명을 담았습니다.

 

영상을 제작하면서 몽골 농업 사회에 기여하는 우리나라 농업이 더욱 자랑스러웠습니다.

본 영상을 통해 몽골 밀 산업과 종자 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기를 바랍니다.

더불어 저희 센터에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17. 1. 20. 6기 연수생 이예솔

 

태그:kopia, RDA, 농진청, 농촌진흥청, 몽골, 몽골센터, 코피아, 코피아 몽골센터, 농업기술개발, 우수 밀 과제 홍보 영상, 밀 우수품종 종자증식 시범사업 및 품종 육성과제, 제 1과

        제, 협력사업 

 

밀 우수품종 종자증식 시범사업 및 품종육성 : 다르항 IPAS 밀 수확 현장 출장 (160908)

Posted by kopia_mongolia
2016. 9. 21. 09:07 진행 사업/우수 밀

 

98일부터 9일까지 2일 동안 다르항으로 출장을 다녀왔습니다.

몽골의 가을은 한국의 가을보다 빨라 벌써 추수기에 접어들었습니다.

이에 따라 코피아 몽골센터의 제 1과제인 밀 우수품종 종자 증식장에서 수확을 시작하여 생생한 현장을 전해드리려고 합니다.

 

일 시 : 2016. 9. 89(, ), 2일간

장 소 : 국립농대소속식물농업과학원(IPAS)’

인 원 : 연구원3, 통역 및 행정원1

 

이번에 방문한 현장은 크게

대표적인 4종의 품종을 수확하는 종자 증식장,

25종의 품종을 시험 수확하는 종자증식 시험포장,

내건성·내병성 품종 온실 시험장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먼저 현재 밀 재배 상황과 수확계획은 아래와 같습니다.

512~22일에 파종하였으며 현재 (96일 이후) 수확 진행 중

길이는 120~130cm6월 대비 약 100cm가량 더 성장한 상태

53ha 면적 중 현재(9.8) 6헥타르에서 14톤 수확

수확 기간 : 96(첫 수확 날) 이후 최소 2주 예상

 

 

밀 파종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게시물을 참고해주세요

      (다르항 IPAS 출장(20160614) - 최도영 연수생)

http://kopiamongolia.tistory.com/category/진행%20과제/1.%20우수%20

 

 

<현장1 : 밀 수확 현장 >

하루(9시간)6~7ha정도 작업합니다. 가을서리와 이슬로 밀이 젖어있는 경우가 많아 마르기를 기다렸다가

보통 오후 12~1시부터 작업을 시작합니다.

밀알 표면에 수분이 붙어있는 경우, 건조대기 시간 중에 밀알 내로 흡수되어 초기 수분을 높임으로써 건조시간과 비용을 증가시키는 부작용을 초래합니다. [출처 : 표준영농교본 농촌진흥청]

 

- 종자 증식장 : 총면적 53ha, 4종의 품종(Darkhan 144,166,34,131)

현재 Darkhan144m  Darkhan131의 성과가 가장 좋습니다. 특히  Darkhan144는 몽골에서 비교적 적응력이 우수하고 가장 수확량이 많으며, 종자 증식외 온실 내 실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품종 길이 비교

 

- 수확 상태 확인 방법 및 수확 과정

황금색을 띄며, 밀알을 비볐을 시 바로 떨어졌을 때 수확

하루에 한 품종(6ha)씩만 수확, 수확 후 종자가 섞임을 방지하기 위해

    수확기계 청소와 기상상태에 따라 최소 2주정도 걸림.

도정 후, 저장이 가능한 습도와 상태 확인 후 저장

과정 : 수확 운반 껍질 벗기기(도정) 습도 등 측정 → 저장 → 봄에 파종 시 습도 등 측정 소독(t-부팅)

 

 

- 수확 후 저장 과정

저장고 상태 확인 및 소독 후 준비

저장고 내 1차 이물질 등 제거 작업 (러시아산 기기)

1차 이물질 등 제거 작업 후 습도와 밀알 상태 등 확인

40KG 포대에 담아 8 단으로 쌓아 보관

수확 후 남은 밀짚으로 덮어 토양 습도 유지

 

 

<현장2 : 종자증식 시험포장>

25종 파종 교육장에서 품종별 0.25m2 면적에서 샘플 채취 후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 1차 작업실에서 수집하는 기초 데이터(1단 기준)

 1단에 묶인 밀 개수

 밀알이 달린 부분의 길이

1개에 달린 밀알 개수

밀알 껍질을 손으로 벗긴 후 알 상태 및 개수 확인

품종별 번호 부착한 종이봉투에 넣어 연구실에 전달

 

 

- 연구실에서 수집하는 데이터

기초 데이터를 기반으로 샘플의 알 크기, 길이, 유전자 검사 등 정밀 검사 실시

데이터 수집 후 저장고로 이동

 

- 종자 증식 기초 시험장

1년차 육종된 품종 : 1~5m 재배다음세대(F2) : 10~25m로 재배면적 늘림, 보통 1년차 자료가 가장 중요하여

                                 수작업으로 진행

 

한 종을 육종하기 위해선 F15(15년 소요)까지 재배

 

 

<현장3 : 내건성·내병성 품종 온실 시험 현장>

- 내병성 품종 시험현장

현재 잎녹병등 실험 진행 중으로 온실 안에 많이 없는 상태

실험 품종이 섞이지 않도록 실험 품종들 사이에 귀리를 심음

 

 

현장에 직접 가보니 미처 몰랐던 어려움들이 있었습니다.

현재저장고 내 올려놓을 판이 없어 드럼통으로 대체 중이었고, 수확 중에 콤바인 부품 고장이 났지만 러시아산 낙후 기기로 부품을 구할 수 없어 저장고 직원이 고쳐서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또한 기상상태와 기기 고장 등으로 수확 기간을 확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첫 출장이라 설렘 반 긴장 반으로 출발 하였는데 상상 그 이상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특히 문서로만 접했던 종자증식장과 종자증식 시험포장 크기를 실제로 보니 너무 넓어서 입이 다물어지지 않았습니다. 다양한 밀 품종들을 보며 과연 밀을 주식으로 삼는 나라구나 다시 한 번 느낄 수 있었습니다. 종자증식 시험포장에는 25종의 다양한 품종들이 있었지만 코팅된 A4 간판을 이용 중이었고, 이마저도 프린팅 된 글씨가 지워져 설명이 없인 품종 확인이 어려웠습니다. 또한 기초 데이터 수집을 수작업으로 진행하고, 열악한 야외 환경에서 기초 데이터를 수집하는 등 현장개선이 필요해 보였습니다. 황금빛 들판을 보고 있노라니 제 배가 다 불러졌지만, 세세한 부분에 더 주의를 기울인다면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추가 ) 밀로 뒤덮인 황금들판 사진

 

 

6기 연수생 이예솔

행정·통역원 게를 촐롱

 

 

태그:kopia, RDA, 농진청, 농촌진흥청, 몽골, 몽골센터, 코피아, 코피아 몽골센터, 농업기술개발, kopia몽골, kopia몽골센터, 우수 밀, 밀 우수품종 종자증식 시범사업 및 품종육성, 다르항, IPAS, 밀 수확, 밀 수확 현장 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