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PIA 몽골 센터 자체과제 4차 농가 점검

Posted by kopia_mongolia
2017. 9. 4. 14:11 진행 사업/- 자체사업 -

  지난 825KOPIA 몽골 센터(대표 홍성구)에서는 KOPIA 몽골 센터의 자체과제한국 채소의 몽골 노지재배 적응성 시험4차 농가점검을 다녀왔습니다. 8곳의 농가를 점검하였으며 KOPIA 몽골 센터의 과제를 수행하고 있는 농가의 위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몽골은 아침저녁으로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기에 대부분의 채소들은 수확기에 접어들었습니다. 이에 따라 채소 별 수확법 지도와 함께 김치 등의 채소를 활용한 요리법 유인물을 배부하였습니다.

 

 

  또한 과제 마무리 단계에 접어듦에 따라 과제 수행 농민들에게 과제 추진 시 애로사항이나 힘들었던 점, 2년차 과제 참여 의사, 개선점, 바라는 점 등 인터뷰를 통해 소통의 시간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대부분 가장 힘들었던 점으로 파종 전 경운 등 토양 준비단계를 꼽았으며 그 외 바라는 점으로는 몽골에서 소비가 큰 양배추, 비트 등의 채소를 추가했으면 좋겠다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또한 한국 고구마에 대한 관심도 높아, 내년도 자체과제 추신 시 의견을 반영하기로 했습니다.

 

  수확한 채소의 데이터 수집을 위해 농가 별 채소 생육조사 수행하였습니다. 대표적으로 재배 우수농가의 생육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지난 농가 점검 시 알타리 무를 밀식 재배하였던 농가에게 재식거리 지도를 하였는데 그 후 재식거리를 준수하여 다시 파종한 알타리 무를 수확하였습니다. 재식거리 뿐만 아니라 두둑을 쌓아 적절한 방법으로 재배한 알타리무는 그 전의 재식거리를 준수하지 않고 평평한 땅에 파종하였던 알타리 무와 확연한 생육 차이를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는 기회여서 농민들에게도 채소 재배에 있어서 올바른 재배법에 관한 이해를 도울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수확을 하고 보니 일부 농가에서 병해충 피해, 냉해 및 생육장해 가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주로 무 배추 등 십자화과 채소의 해충피해가 크며 급격한 기온 감소로 인해 깻잎에서는 냉해가 발생하였습니다. 알타리 무의 경우 미량원소(붕소) 결핍으로 인한 속빔 현상도 관찰되었습니다. 이와 같은 생육장해는 2년차 과제 수행 시 반영하여 반복되지 않도록 하며 보다 정확한 과제 수행을 위해 원인과 해결법을 분석해야 합니다.

 

  농가 점검 후 KOPIA 몽골 센터에서는 농가별 진행상황 및 관련사진을 첨부한 자체과제 진행 현황 표를 업데이트하고 기록지를 작성합니다. 수확이 끝나면 농가별 현황 기록표를 수거하고 데이터를 수집을 통해 올해 몽골 센터의 첫 자체과제 데이터를 분석 후 내년도 과제 추진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현지 지도조사원인 몽골생명과학대학 원예학과 Tserentogtokh교수는 PPT 발표로 4차 현장 점검 결과 보고하는 시간을 가지며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의 채소 전문가 초청 활용을 통하여 2년차 과제의 방향 및 개선점 등을 협의 할 예정입니다.

 

  척박한 몽골 토양에서도 한국 채소종자의 재배, 수확을 통해 채소 재배의 가능성을 확인하였습니다. 예상하지 못한 부분이나 다른 환경으로 인한 문제점 등을 잘 분석하고 해결하여 몽골의 채소 자급을 위해 더욱 노력하는 KOPIA 몽골 센터가 되겠습니다.

  

KOPIA 몽골 센터 선임연구원 한소예

 

 

태그 : 몽골, 노지재배, KOPIA, 코피아, KOPIA 몽골 센터, 알타리무, 시금치, 대파, 양파, 배추, 당근, 무, 청경채, 깻잎, 채소재배, 농촌진흥청, RDA, 자체과제, 노지적응성시험, 한국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