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PIA 몽골 센터 제 10 사업 '비육우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맞춤형 사양 기술 적용' 중간진도 관리 현장 방문

Posted by kopia_mongolia
2018. 8. 31. 11:39 진행 사업/비육우 사양 기술 개발

  지난 2018828, KOPIA 몽골센터(소장 최만영)에서는 제 10 협력사업 중비육우의 겨울철 사료 보충급여 시스템 개발과제에 대한 중간진도관리를 위해 사업장 2곳을 방문 하였습니다.

  해당 사업은 현재비육우의 겨울철 사료 보충급여 시스템 개발목초 종자의 보파 및 윤환 방목으로 정착형 사양 기술 개발두 가지 항목으로 나눠 진행되고 있는 사업입니다.

사업장 위치는 Tuv 아이막 Bayanchandamani 솜에 위치한‘Chand’업체와 Tuv 아이막 Sergelen ‘DUUYA NIMERAL’농가입니다.

 

  다음은 주요 일정입니다.





  Tuv 아이막 Segelen 솜의 ‘Dunya Mineral’농가에서는 10ha 재배 면적 중 5ha는 귀리, , 보리 클로버를 혼작하고 있으며, 수확물은 생초로 급여할 계획에 있습니다. 나머지 5ha에는 알팔파, 수단그리스 및 옥수수를 파종하여 재배하고 있으며 이번년도에 알팔파를 제외한 작물을 사일리지로 만들어 급여할 계획입니다.


  또한 이번년도에는 종자공급에 어려움이 생겨 파종시기가 조금 늦었고 일부에서 겉깜부기병이 발견되었으며, 클로버의 경우 다른 작물과의 경합에서 우세하기 못하기 때문에 혼작을 피해야 할 것 으로 보입니다



  Tuv 아이막 Bayanchanmani 솜의 ‘Chand’농가는 재배 지역에 들쥐가 많아서 들쥐 포획 기간으로 인해 파종시기가 예정보다 늦어진 상태였습니다. 그 이유로 다른 농장에 비해 생육은 느렸지만 다른 해에 비해 강우량이 많아 발아율은 높게 나타났습니다. 소장 최만영은 현장 방문을 통해 농가에 대한 개선점을 토의하고 향후계획을 지도하였습니다. 향후 계획은 다음해 협력사업을 진행 하는 데 있어서 한국 종자를 이용할 계획입니다.

 

  2016 통계청에 따르면 몽골의 농업생산액 41,517중에 축산업이 34,961으로 84.2를 차지하는데 비해 비육우 사업은 축산업의 23.1% 인 소 생산량 전체의 48%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비육우 사업은 몽골의 주요 사업 중 하나가 되어야 합니다. 이번 사업현장 방문에서는 향후계획을 논의하며 몽골의 지속가능하고 발전된 비육우 사업이 발전될 수 있도록 문제점을 개선하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앞으로 몽골 경제와 농업환경에 더욱 발전을 기여하는 KOPIA 몽골 센터가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KOPIA 몽골 센터 연수생 문유정

 

 

태그: KOPIA, kopia, kopia몽골센터, 비육우, 사양기술, 사업, 현장방문, 사료작물, 축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