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PIA 몽골 센터 팜&마켓 2차 기고문 게재

Posted by kopia_mongolia
2018. 7. 9. 09:31 알림판/센터 소식

 지난 2018625KOPIA 몽골 센터(소장 최만영)2차 기고문이 팜&마켓 홈페이지에 게재되었습니다. 기고문은 몽골농업에 관련된 내용으로서 몽골농업의 앞으로의 방향성과 그에 따른 정책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더욱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링크에 들어가시면 확인하실 수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출처: http://www.farmnmarket.com/news/article.html?no=5843#08tt

 

 

 

KOPIA 몽골 센터 연수생 임지민

 

 

 

태그: KOPIA, kopia, 몽골센터, 몽골, 팜앤마켓, 농업, 정책, 방향

KOPIA 몽골 센터 주소 및 연락처(КОПИА МОНГОЛ ТӨВИЙН хаяг, холбоо барих утас)

Posted by kopia_mongolia
2018. 5. 23. 09:56 센터 소개/코피아 몽골 센터

 

 

 

 

 

 

 

 

 

태그: KOPIA, kopia, 몽골센터, KOPIA몽골센터, 울란바토르, 주소, 연락처, 자이승, 축산연구소

KOPIA 몽골 센터 자체사업 ‘한국 채소의 몽골 노지재배 환경 적응성 시험’ 참여 농가 방문 및 종자배부

Posted by kopia_mongolia
2018. 5. 21. 15:25 진행 사업/- 자체사업 -

  지난 2018517KOPIA 몽골 센터(소장 최만영)에서는 KOPIA 몽골 센터 자체사업인한국 채소의 몽골 노지재배 환경 적응성 시험참여 농가에 방문했습니다.

   KOPIA 몽골 센터 자체사업 한국 채소의 몽골 노지재배 환경 적응성 시험은 한국산 채소종자를 대상으로 몽골 내 자체적인 농산물 및 종자 공급과 몽골환경에 적합한 종자 개발을 위해 2017년도부터 진행되어오고 있는 사업입니다.

  이번 방문은 참여 농가의 현황 점검 및 종자 배부를 위해 방문했습니다.

  참여농가의 위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번 참여 농가는 지난해 사업에 참여한 농가 9곳 중 성과가 우수한 농가 4곳을 선정했습니다.

종자의 경우 양파, 배추, 청경채, 청상추, 김장무 총 5개의 공통 종자를 배부했고 그 외에 고추, 수박, 오이, 브로콜리, 시금치를 선택종자로 선정해 그 중 농가가 원하는 종자를 추가적으로 배부했습니다. 선택종자 중 비교적 시금치와 브로콜리의 선호도가 높았습니다.

 

 

  이번 방문을 통해 농가의 현황파악 및 현장교육으로 농가의 궁금증 및 문제점까지 해소할 수 있었던 시간이었으며 지난해 사업성과 및 결과를 토대로 더욱 더 세밀한 점검과 농민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 등을 진행하여 올해도 사업을 잘 이끌어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KOPIA 몽골 센터 연수생 임지민

 

 

 

태그: KOPIA, kopia, 몽골센터, 자체사업, 한국채소, 종자, 적응성, 시험, 방문, 농업

KOPIA 몽골 센터 사업장 위치

Posted by kopia_mongolia
2018. 5. 18. 17:12 센터 소개/코피아 몽골 센터

1. KOPIA 몽골 센터 진행 사업

 

 

2. 사업장 위치 

 

 

3. 자체사업 시험포 및 선정 농가 위치

 

 

 

 

 

KOPIA 몽골 센터 연수생 임지민

 

 

 

태그: KOPIA, kopia, 몽골, 몽골센터, 사업, 사업장, 위치, 농업

 

2018년 하반기 KOPIA 연구원 및 연수생 면접 팁

Posted by kopia_mongolia
2018. 5. 17. 09:45 알림판/정보 안내

  지난 2018511일 농촌진흥청에서 2018년 하반기 해외농업기술개발사업 센터 파견 KOPIA 연구원 및 연수생 모집을 시작하였습니다.

  이번 2018년 하반기의 경우 연구원 13, 연수생 36명으로 총 선발 예정인원은 49명입니다. 또한, 선발방법은서류전형(어학점수) 20% + 면접시험 80% + 가산점(최대10)’으로 면접의 비중이 매우 큰 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면접까지 얼마 남지 않은 이 시점, 이번 2018년 하반기 KOPIA에 지원하시는 지원자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을 드리고자 면접에 대한 것들을 적어보았습니다.

 

1. 한국어 면접

 

 

선임연구원

배민경

  우선 저는자신감 있는 모습을 보여줘야겠다.’라는 다짐을 가지고 면접에 임하였습니다. 짧은 시간동안 서류와 면접을 준비를 해야 했기에, 면접 예상 질문 리스트를 만들어서 연습을 했지만 실제로 면접에서 받은 질문과는 좀 달랐던 것 같습니다. 30분 동안 면접이 진행 되었습니다. 제일 먼저 들은 질문은 왜 다시 KOPIA 몽골 센터에 지원하게 되었는지라는 질문이었습니다. 그 다음 질문은 몽골이 추운 나라인데 추운 곳은 괜찮은지에 대해 질문하셨고 이외에도몽골에 대한 생각한국농업기술을 어떻게 전파할 것인지에 대한 질문을 하셨습니다.

  또한,몽골에서 연수생 생활을 했던 경험이 있는데 혹시 몽골어를 할 수 있는지에 관한 질문도 받았습니다.

 

선임연구원

구태연

   선임 연구원의 면접의 경우 다수의 면접관이 한명의 지원자에게 여러 질문을 하는 심층 면접입니다. 누구나 긴장하고 입장하게 되지만 밝은 미소로 맞이해주시는 면접관님들 덕분에 큰 부담 없이 면접을 시작했습니다. ‘KOPIA에 지원하게 된 동기’, ‘왜 이 국가를 지원했는지’, ‘해당 국가의 사업에 본인이 기여할 수 있는 바가 무엇인지’, ‘향후 KOPIA 파견 종료 시 어떤 일을 하고 싶은지’, ‘문화가 다른 외국인과 친해질 수 있는지와 같은 질문을 하셨으며 또한, 자기소개서에 기입된 내용을 바탕으로 많은 질문을 하셨습니다. 저 같은 경우 다른 선임 연구원 지원자들보다 상대적으로 어린 나이였기 때문에 나이가 많은 연수생, 연구원과 문제가 생긴다면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소장님과의 갈등은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위계질서를 무시하는 직원이 있다면 어떻게 반응할 것인지등 동료들과 파견지에서 있을 법한 상황에 관한 질문을 하셨습니다. 생각지도 못한 당황스러운 질문들이 많아 주춤했지만 밝은 미소로 차근차근 저의 장점을 어필하여 대답하니 좋은 결과를 이루어낼 수 있었습니다. 저 같은 경우 자기소개서에 기입된 내용을 바탕으로 나만의 이야기를 하듯 면접을 보았기 때문에 큰 어려움이 없었습니다. KOPIA 서류 지원 당시, 자기소개서를 꼼꼼히 작성하고 작성 내용을 숙지해간다면 좋은 결과가 있으실 겁니다. 또한 해당 국가의 정보나 주요 사업에 관한 내용을 숙지해 간다면 큰 어필이 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KOPIA에 대한 열정과 본인의 장점을 밝은 미소로 전부 보여줄 수만 있다면 어려움 없이 성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연수생

임지민

  우선 면접은 아시아, 남미, 아프리카 순으로 진행되었으며 몽골의 경우 4번째로 진행되어 대기시간이 길지 않았습니다. 연수생 면접의 경우 같은 나라를 지원한 지원자와 함께 면접을 보게 되고 총 세 분의 면접관이 계시며 세 분 중 한 분은 영어면접 담당이셨습니다.

질문의 경우 공통질문이었으며 첫 질문은다른 지원자보다 자신이 왜 합격해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이었습니다. 전혀 예상치 못했던 질문이라 순간 당황했지만 제 전공과 이전의 경험을 살려 대답하였습니다.

  다음은왜 몽골을 지원하게 되었는지에 대해 질문하셨습니다. 이 질문의 경우 면접 전 준비를 했었던 질문이었기 때문에 평소 몽골에 대한 생각과 접목시켜 나름 수월하게 대답할 수 있었습니다.

  1차 서류전형 합격 후 면접까지 시간이 촉박했고 이전의 면접 경험이 그리 많지 않아 걱정했지만 말을 하다 더듬거려도 면접관분들께서 끝까지 잘 들어주시고 편안한 분위기라 자신이 준비했던 것들을 끝까지 잘 대답한다면 좋은 결과를 기대해도 될 것 같습니다.

 

 

2. 영어면접

 

 

선임연구원

배민경

  영어 면접의 경우 세 가지 질문을 받았습니다.

  첫 번째는성격의 장점과 단점’, 두 번째왜 다시 몽골에 지원했는지’, 세 번째몽골에서의 생활에 대해 질문하셨습니다.

 

선임연구원

구태연

  영어 면접에 부담을 크게 가지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저 또한 큰 부담을 안고 다양한 질문의 답을 준비했지만 영어 면접은 무척 간단하게 끝났습니다. ‘KOPIA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취미가 무엇인지’, ‘잘하는 것이 무엇인지’, ‘학교생활 중 가장 의미 있었던 일은 무엇인지등 간단한 답변이 될 수 있도록 크게 어려운 질문은 없었습니다. 편한 마음으로 대화하듯 면접에 임한다면 어려움 없이 영어 면접을 진행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연수생

임지민

   영어면접의 경우 몽골의 겨울은 매우 추워 야외활동이 어려운데 쉬는 시간에 어떤 여가활동을 할 것인지에 대해 질문하셨습니다. 이 질문은 면접 전 예상했었던 질문이여서 쉽게 대답할 수 있었습니다.

  영어면접은 한국어면접 보다는 질문수가 비교적 적게, 한두 가지 정도이며 질문의 내용도 그리 어렵지 않기 때문에 크게 걱정 안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면접장에 도착한 뒤 차분히 자신이 준비한 것들을 다시 한 번 숙지하시면서 긴장을 푸시고 면접을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1차 서류전형 합격자 발표 후 다소 시간이 촉박하겠지만 면접 전, 예상 질문을 미리 준비하고 면접장에 가서는 준비했던 모든 것을 표출하고 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KOPIA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KOPIA 몽골 센터정보안내카테고리에 들어가시면 더 많은 면접 팁을 확인하실 수 있으니 참고하시고 좋은 결과 있기를 기대하겠습니다.

  또한, KOPIA 몽골 센터 티스토리, 블로그를 보시면 KOPIA 몽골 센터의 현황 및 진행 중인 사업, 연구원 및 연수생 물품 안내서 등 더 많은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으니 KOPIA 몽골 센터에 관심 있으신 분들은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KOPIA 몽골 센터 연수생 임지민

 

 

 

태그: KOPIA, kopia, 몽골, 몽골센터, 2018, 하반기, 연구원, 연수생, 면접,

 

KOPIA 몽골 센터 제 8 사업‘한국 양파의 몽골 적응성 품종 선발, 농가 실증 및 보급’현장 방문

Posted by kopia_mongolia
2018. 5. 16. 11:42 진행 사업/양파 품종 선발

  지난 2018512KOPIA 몽골 센터(소장 최만영)에서 제 8 협력사업인한국 양파의 몽골 적응성 품종 선발, 농가 실증 및 보급현장에 방문했습니다.

8 사업한국 양파의 몽골 적응성 품종 선발, 농가 실증 및 보급은 현재 다르항(Darkhan)에 위치한 IPAS의 내부 온실과 IPAS에서 45km 거리에 위치한 시험포장에서 진행하고 있으며 몽골에 적합한 한국 양파 품종 선발과 재배방법 및 기술을 개발하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먼저 출장 1일차에는 IPAS 내부 온실에 방문했습니다. 현재 온실에서는 한국품종(14)과 이미 몽골에서 적응성 시험으로 검증된 독일품종(Schtutgarter rezin)과 러시아품종(Byessonovskii)42021일에 파종하여 육묘 중이었으며 그 중 한국품종 중 하나인‘K-star’가 가장 먼저 발아 되었습니다.

 

 

 

  출장 2일차에는 Orkhon IPAS 시험포장을 방문했습니다. 이곳에서는 온실과 재배품종은 같지만 재배방법을 달리하여 어떤 방법이 몽골에 더욱 더 적합한지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파종을 준비 중이었습니다.

 

 

 

  현재 몽골 채소 생산량은 몽골 채소 수요의 50%이고 양파의 경우 44.9% 정도 충족한다고 합니다. 양파 재배면적을 늘리고 있지만 몽골은 겨울이 매우 길고 재배기간이 짧으며, 양파의 저장성이 좋지 않아 여전히 많은 수요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더욱 더 사업의 중요성을 깨닫고 근본적인 원인을 개선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을 모색하는데 주력해야합니다.

  이번 방문을 통하여 사업의 목적에 도달하기 위한 많은 노력들을 알 수 있었으며 KOPIA 몽골 센터에서도 해당사업에 대한 더 많은 관심과 사업추진에 힘쓰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KOPIA 몽골 센터 연수생 임지민

 

 

 

태그:KOPIA, kopia, 몽골센터, IPAS, 양파, 품종선발, 파종, 현장방문, 다르항, 농업

 

 

KOPIA 몽골 센터 제 6 사업 ‘우수 밀 품종의 증식 및 보급 종 생산 시범사업’ 현장 방문

Posted by kopia_mongolia
2018. 5. 16. 11:29 진행 사업/우수 밀

  지난 201851KOPIA 몽골 센터(소장 최만영)에서 제 6 협력사업인우수 밀 품종의 증식 및 보급종 생산 시범사업현장에 방문했습니다.

  우수 밀 사업은 현재 제 1 사업인밀 우수품종 종자증식 시범사업 및 품종육성의 품종선정 및 육성 결과를 바탕으로 셀렝게(Selenge), 볼강(Bulgan), 홉스골(Khuvsgul), 투브(Tuv), 다르항올(Darkhan-Uul)지역에 위치한 6개의 선정농가에서 몽골 품종 Darkhan-131, Darkhan-166, Darkhan-144, Darkhan-34을 각각 파종 및 재배 중이며, 이번에 방문한 다르항 IPAS 우수 밀 시험포장에서는 추가적으로 한국 품종의 몽골 적응성 시험을 위하여 몽골 품종인 Darkhan 144와 한국 품종(28)의 비교연구를 위한 파종을 진행 중이었습니다.

 

 

  현재 우수 밀 사업은 제 1 사업인밀 우수품종 종자증식 시범사업 및 품종육성부터 진행되어 현재 6 사업우수 밀 품종의 증식 및 보급 종 생산 시범사업까지 약 4년째 진행되고 있으며 여러 성과를 도출해내고 있는 사업입니다. 현재까지 사업을 잘 이끌어 나가기 위해 노력해주신 많은 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전하며 저희 KOPIA 몽골 센터에서도 앞으로 우수 밀 사업추진에 더욱 더 박차를 가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KOPIA 몽골 센터 연수생 임지민

 

 

 

태그: KOPIA, kopia, 몽골센터, IPAS, 우수 밀, 다르항, 한국품종, 비교재배, 파종, 현장방문

 

 

KOPIA 몽골 센터 제 6 사업‘우수 밀 품종의 증식 및 보급 종 생산 시범사업’사업소개

Posted by kopia_mongolia
2018. 5. 16. 10:24 진행 사업/우수 밀

1. 사업소개

 1) 사업 명

  ❍ 우수 밀 품종의 증식 및 보급 종 생산 시범사업

 2) 사업기간

  ❍ 2017. 1. 1. 2019. 12. 31.

 3) 사업목표

  ❍ 우수 밀 품종 증식 (고품질, 내건성, 생산성, 내병해충 등)

  ❍ 우수 밀 종자 증식 :(17) 105 ton(18) 105(19) 105

  ❍ 우수 품종의 보급종 생산량: (17) 0.8ton(18) 195 (19) 1,275

  ❍ 우수품종 보급 면적 (17) 0.8ha(18) 186 (19) 1,215

  ❍ 한국 종자 유전자원 교환 교배종 : 10

  ❍ 교육실적 : (17) 3(18) 3(19) 3

 

2. 협력기관 소개 및 사업 책임자 소개

 1) 협력기관 소개

  ❍ IPAS(Institute of Plant Agricultural Science)

몽골생명과학대학(MULS) 산하 기관이며, 몽골정부의 농업분야정책수립에 따른

농업에 관한 종합적인 연구 및 업무를 시행하는 기관

   

 

   - 기관연혁

    ⦁ 1948: Burgaltai솜에 농업 연구소 설립

    ⦁ 1963: Zuunkharaa 아이막으로 이전, 식물과학연구소로 기관명 변경

    ⦁ 1977: Darkhan-Uul 아이막으로 이전

    ⦁ 1993: 식물교육과학연구소로 기관명 변경

    ⦁ 2015: 식물과학연구소로 기관명 변경, 몽골생명과학대학(MULS) 산하기관으로 편성

  - 주요업무

    ⦁ 작물재배기술 및 새로운 작물품종 개발

    ⦁ 작물저장연구 및 외국품종 현지 적응화

    ⦁ 종자생산

    ⦁ 퇴비 개발 및 생산

    ⦁ 토양 비옥도 상태 개선 관리

  2) 사업 책임자 소개

          

 

3. 사업의 중요성

 1) 산업적 중요성

  ❍ 춘파소맥(spring wheat)용 종자지원으로 고품질 밀 생산 20~30% 증가함에 따른 몽골

        농업 수준 향상

  ❍ 고용증가 및 농가 소득 증진으로 삶의 질 향상

 2) 경제적 중요성

  ❍ 우수종자생산이 확대됨으로써 생산량 3배 증가

  ❍ 재배기술 및 품종을 제공함으로써 작물의 생산성 향상으로 인한 농가 소득 증진

 3) 기술적 중요성

  ❍ 농가에 종자생산기술 및 검증된 품종을 제공함으로써 자체적인 종자보급 능력 및 기술 배양

  ❍ 우수종자 생산기술도입을 통해 6 종의 초우수종자 생산기술 확립

 

4. 성과

  ❍ 우수종자 생산 : Darkhan-160(Arvin), 144, 131, 34 4품종

    - 초우수종자 22.5, 우수종자 100톤 생산/130ha(휴경지)

  ❍ 지역별 적합 품종 선발

    - 4지역(흡수골, 볼강, 셀렝가, 다르항), 6품종 품종별 4.8ha 재배

    - 조생종 3품종(Darkhan-131, 160, 172), 중생종 3품종(Darkhan-34, 166, 79), 만생종 2품종(Darkhan-144, 181) 선발

    - 지역별 품종별 수량

    - Field day를 통한 품종 중요성 홍보

 

 

5. 올해 사업추진 계획

  ❍ 지역 확대 및 3개 농가·업체 추가 선정

  ❍종자증식업체 186ha 면적에서 우수종자 30ton 파종

  ❍ 종자증식업체에서 우수종자 정립 총 195톤 수확(65ton×3)

  ❍ 종자증식업체 우수종자 보급 30ton

     - 선정품종: 28(올 밀, 그루밀, 다홍밀, 청계밀, 은파밀, 탑동밀, 남해밀, 우리밀, 올그루밀,

                                            알찬밀, 고분밀,  서둔밀, 금강밀, 새올밀, 진품밀, 밀성밀, 조은밀, 조품밀,

                                            안백밀, 신미찰밀, 조농밀, 조경밀, 연백밀, 신마찰1, 백중밀, 적중밀,

                                            수강밀, 한백밀)

   - 몽골 환경 적응성 시험 및 품종선별

 

 

KOPIA 몽골 센터 연수생 임지민

 

 

 

태그: KOPIA, kopia, 몽골센터, IPAS, 우수밀, 품종증식, 시범사업, 다르항, 협력사업, 농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