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인과 지도공무원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 사업 소개

Posted by kopia_mongolia
2016. 10. 12. 16:39 완료 사업/지도교육

안녕하세요!

오늘은 KOPIA 몽골센터의 제 5번 과제인,

농업인과 지도공무원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소개하려고 합니다.

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목차>

1. 과제명 및 사업기간

2. 협력기관 소개 및 과제 책임자 소개

(1) 협력기관 소개

(2) 과제 책임자 소개

3. 지도교육 사업의 중요성

(1) 농업적 중요성

(2) 경제적 중요성

(3) 기술적 중요성

4. 목표

5. 성과

6. 올해 사업 추진 계획

 

 

1. 과제명 및 사업기간

과제명 : 농업인과 지도공무원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Capacity Building For Food and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 Delivery)

사업기간 : 2015.8.11.2017.12.31.

2. 협력기관 소개 및 과제 담당자 소개

(1) 협력기관 소개

 □ 국립 농촌 지도 센터 [National Agricultural Extension Center (NAEC)]

      전국 21, 울란 바타르시와 솜별 농업과 개설로 총 180개 솜에 기술지도 담당 팀 결성,

     농업 교육 및 기술지도 체계 구축 지원

 

  1) 설립연혁

 19961128일 설립 - 식품 경공업부 산하 기관

2002: 10개 도에 농촌지도센터 설치

2005: 21개 도에 농촌지도센터 설치

 

  2) 설립목적 및 기능

농업인에게 농업과 축산에 관한 새로운 지식과 기술, 정보의 전달, 교육지도 프로그램의

         기획과 운영

생산자에게 정보 제공, 농업생산성 향상, 농가소득 증대

❍ 식량농업경공업 분야의 기계 장비, 기술, 표준, 통계 정보 제공

사업 과제 발굴, 기술 선택 및 기술 수준 평가, 자문

전자 데이터 베이스 구축 및 자료 제공

 

 

(2) 과제 책임자 소개

 

 

3. 지도교육 사업의 중요성

(1) 농업적 중요성

농촌지도사업의 필요성

 - 토양보호, 식량안전성 등에 집중 된 농촌지도 필요

(2) 경제적 중요성

교육프로그램을 통한 농업인의 지식 및 농가소득 향상

 - 과일 및 장과류 재배는 토양을 보호 할 수 있어 지역농업인들의 수입도 증가 할 것이며,

    경제 발전의 도움

(3) 기술적 중요성

농업생산 구축에 있어 조직훈련의 필요성

 - 지방농업인, 연구원, 교수 등의 식량안전성에 관한 지식 향상

  ❍ 토양보존기술에 집중 필요

    - 경작지의 46.5%가 침식되었고 그 중 41.1%가 심각한 상태

 

4. 목표

   ❍ 농촌지도 교육을 위한 기기 설치

   990명의 농민과 농업관련자에게 기술 교육 실시

     (작물 : 11, 560/ 가축 : 7, 290/ 농업기술 : 3, 140)

 

5. 성과

(1) 식량 안전 관련 법, 식품 안전 관련 규정 설명 및 농업 생산품 품질, 안정성 확보 교육 (2016. 2. 24 ~ 3. 1)

1) 대상 : 고비알타이도 공무원과 농업분야 전문가, 중국에 육류 수출 허가 받은 6개의 육 가공 업체

                             Моntuva”,“Маkhmarket”,“Моnpolimet”, “Prekom”, Darkhan meat food”,“EMD”)및 지역 육류 공급 업체와 목민,

             국경 지역 관계자, 공무원 등

  2) 참여 인원 : 80

  3) 교육 내용 : 식량농업 관련 정책, 육류 수출 및 육류 수출 관련법률, 식량안전기준(ISO-22000, HACCP,

                    GMP, GHP) 규정, 리스크 관리 및 내부 체계 조직화 설정 방법, 민간업체와 목민, 농업인의

                       어려움 토론 및 자문

  4) 결과 : Моntuva”LLC, “Prekom” LLCISO-22000 도입 준비 서류 신청 절차에 있으며 국제기구에

               신고한 상태

 

(2) 식량, 농업 분야의 정부 정책 (2016. 3. 10.)

  1) 대상 : 어르헝 도 바잉운드르, 자르갈랑 솜 농업 업체, 농업인 대표, 해당 솜의 농업 전문가

  2) 참여인원 : 170

  3) 교육 내용 : 향후 식량, 농산업 분야의 종사자들이 농업 관련 기초 자료 배포 후, 20162월에 개정된

                     농업법 관련 내용 등 농업에 대한 정부 정책 교육

  4) 결과 : 참여자들이 시기적으로 주제가 적절했다고 평가. 가을에 남은 채소 뿌리, 이파리 등으로

               농지를 덮어놓음으로서 농지 토질 향상, 습도 유지를 하는 기술을 현지화 하여 적용. 해당

                농지에 다른 채소 곡류 등을 시험할 목적으로 butliin udarga, Orkhon taria 등 농산업 기업과

               협조중

 

(3) 농업 분야의 발전 동향과 지도 사업 교육 (2016. 5. 17 ~ 20)

  1) 대상 : 바잉울기 도 보가트, 울기, 알탕척츠, 울란호스, 너겅노르 솜에서 목축을 하는 목민 대표,

               솜 농업 전문가 등

  2) 참여 인원 : 70

  3) 교육 내용 : 식량 농업 관련 정부 정책 동향 파악, 지도 교육 관련 지식 자료를 배포, 교육 중 목민들과

                            참여자들이 현지 어려움 등으로 토론 및 자문

  4) 결과 : 교육에 대한 시기적절함을 강조하고, 실생활에 반영 가능 교육이라 평함. 현지 목민 집 방문하여

               양, 염소 현황을 파악. 가축 품질 향상을 위해서 내몽골의 Uzemchin 품종 숫염소를 가지고 품질

                    개량을 시도한 사실 확인. 새로 들여온 숫염소와 10마리의 현지 염소와 교배한 결과, 모두 털

               상태가 향상됨.

  5) 애로사항 : 울란바타르 - 바잉울기 간 동결정액 운반시 전용 운송수단이 없음. 액체 질소가 운반 중에

                       대량 소실되어 100 % 이용하지 못하고 있음.

  6) 조치사항 : 이 사항으로 코피아몽골센터 소장이 자문을 했으며, 관련 내용을 가축유전자원센터의

                     담당 직원에게 정보를 전달.

 

(4) 교육 참여자들 평가, 의견

  1) 교육 만족도 : 98%

  2) 교육 기간 : 충분

  3) 교육 자료 공급 : 충분

  4) 교육 참여자 비율 : 여성 : 80 %, 남성 : 20 %

  5) 교육 내용 : 적합

  6) 교육 지속 기간 : 적합

  7) 의견 : 교육자들의 지식과 교육 방식이 좋았다고 평했음.

 

6. 올해 사업 추진 계획

 (1) 신기술 보급을 위한 교육 교재 발간

  - 육우, 젖소, 양돈, 양계, 양봉 등 교재 5종 출판 준비

 (2) 선진화된 교육 프로그램 개발

  - 감자, 채소 가공, 저장 기술, 원산지 증명서 설명 (9.27, 예정)

 (3) 채소 저장 기술과 영업 방법 전수(10.5, 예정)
 (4) 지도사업 원칙과 전수방법 (10.20, 예정)

 

 

지도교육사업의 목적과 중요성, 목표등에 대해 간단히 요약해 보았습니다!

사업 기간이 남은 만큼 앞으로 더 많은 정보를 게시할 예정이오니

꾸준한 관심 부탁드립니다~!

 

 

6기 연수생 이예솔

 

 

 

태그:kopia, RDA, 농진청, 농촌진흥청, 몽골, 몽골센터, 코피아, 코피아 몽골센터, 농업기술개발, kopia몽골, kopia몽골센터, 지도교육, 농업인과 지도공무원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협력사업, 협력과제

양육·양모 과제 현장 방문(9. 27. ~ 28.)

Posted by kopia_mongolia
2016. 10. 5. 12:07 완료 사업/양육·양모

 지난 927~28KOPIA 몽골 센터는 국립몽골농업대학교 축산연구소 RIAH(Research Institute of Animal Husbandry)의 다르항 홍고르솜 사업장을 방문하였습니다. 이번 연구 목적은 2년생 양 2마리를 대상으로 생체중(生體重), 도체중(屠體重), 부위별 무게 측정 하는 것과 사료작물의 재배지에 3월에 태어난 새끼 양들을 10월 한 달 동안 방목을 시작하는 현장을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 용어 설명 (출처 : 농촌진흥청 용어 해설)

 -  생체중 : 살아있는 생물의 무게

 -  도체중 : 생체에서 머리, 내장, 가죽 및 기타 부산물을 제외한 나머지 무게

 

 사업장엔 아래 사진과 같이 양(Orkhon, Suffolk, Uzemchin, altanbulag, 재래종)과 염소가 있었고, 암컷과 수컷의 무리들이 각각 분리되어 5가지 품종들이 교잡 되는걸 방지하고 각 품종의 순종을 지키기 위하여 분리 사육되고 있었습니다.

 

 

 

 

 각 품종의 체중 무게를 재기 위하여 품종별로 5~7마리씩 선발하여 생체중을 측정하였습니다. Uzemchin 품종은 허리가 길어서 무게를 측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Orkhon품종이 육양품종 대표로 같은 품종(Orkhon)과 연령(2), 비슷한 체중(46kg)을 가진 양 2마리를 선발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측정하기 위하여 오전에 공복 상태로 도축 합니다.

 

 

도축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같은 무게, 연령, 사육조건, 도축 환경에서 측정하였는데도 개체의 부위별 무게가 서로 다른 점이 인상 깊었습니다.

 

 방목·도축 현장에서 2시간 동안 차를 타고 이동하여 사료작물 재배지와 축사가 있는 곳에 도착하였습니다. 이곳에서는 20163월에 태어난 Orkhon, Suffolk품종 27마리를 928일 사료작물 재배지(20ha)에 방목하여 한 달 동안(10. 1.~10. 31.) 비육 결과를 살펴 볼 계획입니다. 또한 바로 옆의 축사에는 양을 350여 마리 수용이 가능하며 지붕 보수 예정중입니다.

 

 

 

 단순히 자연방목을 하면 35kg까지밖에 비육이 안되지만, 사료작물 재배지에 방목을 하면 45kg까지 비육된다고 합니다. 몽골의 축산업자분들이 쉽게 따라할 수 있고, 가축의 육량, 모량이 많아지는 방법을 보급하기 위하여 이 연구가 잘 되었으면 한다는 담당자의 바람을 들으면서 현장에서 바삐 움직이는 모습을 보고 저 또한 잘 되었으면 하는 마음이 들었습니다. 방목된 양들을 측정하는 11월에는 좋은 결과가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KOPIA 몽골 센터 선임연구원 정재현

 

태그:kopia, RDA, 농진청, 농촌진흥청, 몽골, 몽골센터, 코피아, 코피아 몽골센터, 농업기술개발, kopia몽골, kopia몽골센터, 양육양모, 양육양모 과제 현장 방문, 출장, 협력사업 출장,

        협력과제 출장

사료작물 우수품종 종자증식 시범사업 : 아르항가이 사업장 방문(160811)

Posted by kopia_mongolia
2016. 8. 19. 16:12 완료 사업/알팔파

 

811일에 사료작물 알팔파 사업의 진행 상태를 확인하고자 아르항가이 아이막 이흐타미르 솜에 (Arhangai aimag Ikhtamir soum) 방문하였습니다.

 

 

아르항가이 주(몽골어: Архангай)는 몽골 중부에 위치한 주로 주도는 체체를렉이며 면적은 55,313.82, 인구는 84,584(2011년 기준)이다. 주 이름은 몽골어로 "항가이 산맥 뒤쪽"을 뜻한다. <출처 : 위키백과>

 

<출처 : 구글맵>

 

아르항가이 아이막에 있는 사업장은 울란바토르에서 서쪽으로 약 500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습니다. 교통체증이 없을 시 6시간 40분 정도 걸린다고 합니다.

 

 

 

 

 

- 알팔파 채종포

 

해발 1700m의 고산지대에 위치한 이곳도 날씨가 많이 풀려 알팔파가 눈에 띄게 성장한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현재 2년차이며 채종포에는 줄 간격 45cm, 알팔파 간격 15cm로 파종해 놓은 상태입니다.

 

 

 

 

 

- 개화한 알팔파

 

노란색과 보라색 꽃이 함께 개화한 상태이나 노란색 꽃이 다수였습니다.

또한, 농약과 같은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병해충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 알팔파의 모습

 

올해는 강수량의 증가로 초장이 약 70~100cm 까지 성장하였습니다.

잡초제거와 같은 현장관리들이 제 때 이루어져 알팔파가 성장하는데 도움이 된 것 같습니다.

채종은 9월 말경에 할 예정이며 별다른 채종기가 없어, 잡초 제거와 마찬가지로 인력으로 할 예정입니다.

 

 

 

 

 

- 아직 완전히 성숙되지 않은 씨앗

 

현재 씨방 안에는 초록색으로 종자가 생기고 있으며 머지않아 노란색으로 성숙할 예정입니다. 또한, 1개의 씨방 안에서 4~6개의 종자 나올 것으로 예상하며 1ha5~60kg의 종자 수확을 예정 중입니다. 이후 3년차 되면 1ha당 약 100kg 수확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 알팔파 진행상황 설명

 

현장에 계신 데지드마 박사님의 말씀에 의하면 현재 알팔파 사업은 종자증식에 심혈을 기울이는 중이며 아직 가축사료로 쓰일 만큼의 양은 나오지 않는다고 하셨습니다. 하루 빨리 많은 양의 종자가 수확되어 우수한 사료작물로써의 가치에 다다랐으면 좋겠습니다.

 

 

 

 

 

- 시험포 옆 비닐하우스

 

알팔파 시범농장을 모두 둘러본 후 옆에 있는 비닐하우스에 들어가 보았습니다.

 

 

 

 

 

- 비닐하우스에서 재배 중인 딸기                           - 비닐하우스에서 재배 중인 방울토마토

 

 

한국식 비닐하우스 안에는 딸기와 방울토마토가 재배되고 있었습니다. 이곳 역시 비료나 화학약품들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잘 익은 방울토마토를 하나 따서 먹어보니 굉장히 달고 맛있었습니다.

 

 

 

 

 

- 아르항가이 알팔파 시범농장 앞에서 찍은 단체사진

 

 

저희 센터는 울란바토르에 있기 때문에 다소 거리가 있는 아르항가이는 자주 방문을 하지 못하였는데도, 알팔파의 성장 상태나 시험포의 상태를 보아 비교적 관리가 잘 이루어졌다고 판단됩니다.

 

 

 

 

새벽 4시 출발과 밤12시 도착, 왕복 20시간이라는 빡빡한 일정을 소화해주시면서 몽골농업에 많은 도움을 주신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의 이상훈 박사님께 다시 한 번 감사의 말씀 전합니다.

 

 

 

 

                                                     +

 

 

 

 

 

 

 

 

 

2016. 8. 19. 6기 연수생 김수현

 

태그:kopia, RDA, 농진청, 농촌진흥청, 몽골, 몽골센터, 코피아, 코피아 몽골센터, 농업기술개발, kopia몽골, kopia몽골센터, 아르항가이, 알팔파,

       사료작물 우수품종 종자증식 시범사업

농업시험 및 훈련 농장 모델 조성 : 보르노르솜 사업장 방문(160805)

Posted by kopia_mongolia
2016. 8. 19. 14:10 완료 사업/훈련농장

 

 

 

  KOPIA 몽골 센터 직원들은 투브아이막 보르노르솜(Tuv Aimag Bornuur Soum) 위치한 NAEC(국립농촌지도센터, National Agricultural Extension Center)훈련농장을

방문 하였습니다.

NAEC 훈련농장은 KOPIA 몽골 센터의 협력사업으로 지원하고,

NAEC에서 운영하며 농업 신기술 교육, 기기 도입 검정, 신품종 시험 재배하여

현지 적응 가능성을 살펴본 후 몽골의 농업에 종사하시는 분들에게

전문적인 정보 제공과 교육을 실시하고자 설치되었습니다.

 

 

 

  훈련농장의 면적은 6ha로 울타리가 설치되어 있었, 2ha를 먼저 4월에 경운하여 씨감자와 양파, Shanten당근, 홍당무 등 먼저 파종하고, 블랙베리 및 Redberry Malboro 과실수 20여 그루를 심고 616일에 상추, 참외, 오이, 토마토 등의 채소를 20×6M 규격의 비닐하우스 4동에 파종하여 불과 한달 여 만에 작물이 성장하여 확인을 하러 갔습니다.

 

 설치되어 있는 4동의 비닐하우스 아래엔 손잡이를 달아 바람통로를 조절할 수 있게 만들어 찬바람이 불 때에는 막을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토양이 비옥하여 채소가 잘 자랐지만 아직 채소를 솎아주는 것이나 잡초를 일일이 뽑아주는 방법에 일손이 많이 부족한 것 같아 보였습니다. 또한 김치 행사를 위한 방문(817)을 했을 때에는 벌레들이 활동을 시작하여 청상추, 깻잎외의 배추나 적상추 등 몇몇의 작물에 큰 병충해가 있었으며 수확시기가 지나 잎이 하얗게 변한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의 기록이 계속되고 경험이 쌓여 간다면 채소를 수확하기에 적당한 날짜와 해를 입히는 벌레종류를 제거하는 농법을 알아가고 보완 할 수 있도록 했으면 좋겠습니다.

 

 

선임연구원 정재현

 

태그:kopia, RDA, 농진청, 농촌진흥청, 몽골, 몽골센터, 코피아, 코피아 몽골센터, 농업기술개발, kopia몽골, kopia몽골센터, 농업, 몽골비닐하우스, 몽골채소, 몽골채소재배,

        시범농장, 보르노르솜, 사업장, 훈련농장

사료작물 우수품종 종자증식 시범사업 : 다르항 사업장 방문(160810)

Posted by kopia_mongolia
2016. 8. 19. 09:02 완료 사업/알팔파

 

810일에 사료작물 알팔파 사업의 진행상황을 파악하고자 다르항-울 아이막 홍고르 솜에 (Darkhan-Uul aimag Khongor soum) 다녀왔습니다.

 

 

<출처:구글맵>

 

 다르항-울 아이막에 위치한 사업장은 울란바토르에서 북쪽으로 약 230km 정도 떨어져 있습니다. 교통체증이 없을 시 3시간 15분이면 간다고 합니다.

 

 

 

 -알팔파 채종포

 

 

 

 

 

- 개화한 알팔파 모습  노랑(보라()

 

 

곧 채종을 앞둔 알팔파의 모습입니다. 613일 방문당시보다 굉장히 많이 성장한 모습이었습니다. 또한, 노란색 꽃과 보라색 꽃이 함께 개화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시험포 전체에 보라색 꽃이 다수였으며 종자는 노란색 꽃에서 먼저 나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채종은 늦어도 920일경에 할 예정입니다.

 

 

 

 

 

- 73cm인 알팔파                                                               - 80cm인 알팔파

 

작년에는 가뭄으로 성장이 수월하지 않았는데 올해는 강수량이 증가하여 초장이60~80cm로 자랐습니다.

6월 대비 약 45cm 가량 더 큰 상태였습니다.

 

 

 

- 인력으로 제거중인 잡초

 

앞서 사용하였던 농약이 효력을 발휘하지 못해 방문 당시 인력으로 잡초를 제거하고 있는 모습이 보였습니다. 인력을 구할 비용이 넉넉하지 않아서인지 잡초가 무성하게 자라있는 모습이 안타까웠고, 한편으로는 관리가 체계적이지 못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 알팔파 진행상황 설명

 

이번 출장에 동행한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의 이상훈 박사님과 시험포 현장에 계신 데지드마 박사님은 러시아 품종과 몽골의 품종을 교배시킨 ‘Burgaltai(보르갈타이)’ 품종에 대한 변동사항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하셨습니다. 1968년 개발된 이후에 조사된 내용이 없어, 하나의 품종에서 두 가지 꽃 색깔이 나오는 것을 명확히 설명할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Burgaltai(보르갈타이)’ 품종에 대한 설명은

http://kopiamongolia.tistory.com/65 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 해충 생긴 알팔파

 

알팔파 꽃에서 딱정벌레 같은 해충이 있는 모습이 보였습니다. 하지만 다행히도 그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보입니다.

 

끝으로 이번 출장을 통해 ‘Burgaltai’ 품종이 몽골 현지에서 잘 적응하여 성장하고 있다는 것을 서면에서 보다 직접적으로 느꼈습니다. 또한 제대로 된 관리 감독과 충분한 재정적 지원이 있었다면 더욱 크게 발전하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았습니다. 많은 농가들에서 알팔파의 가치를 인식하여 수요가 늘어난다면 국가에서 공을 들여 공급량을 늘릴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약 한 달 후 많은 양의 종자가 수확되기를 바라며 이번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2016. 8. 19. 6기 연수생 김수현

 

 

태그:kopia, RDA, 농진청, 농촌진흥청, 몽골, 몽골센터, 코피아, 코피아 몽골센터, 농업기술개발, kopia몽골, kopia몽골센터, 알팔파, 다르항, 사료작물 우수품종 종자증식 시범사업

사료작물 우수품종 종자증식 시범사업 : 다르항 사업장 방문(160613)

Posted by kopia_mongolia
2016. 7. 5. 13:57 완료 사업/알팔파

 

안녕하세요 사료작물 알팔파 과제 담당자 이수현 연구원입니다.

 

몽골도 이제 날씨가 많이 풀려 어느덧 여름이 다 되었습니다.

 

 

-알팔파 채종포

 

이번에는 613일과 14일에 걸쳐 다르항으로 출장을 다녀왔는데요,
그 중 알팔파 과제사업장은 613일에 방문하였습니다.

 

 

- 축산연구소 시험포 입간판

 

축산연구소 과제사업장 입구에는 입간판이 설치되어 있고

울타리로 막아놓았는데요,

입간판에는 축산연구소, 사료작물 유전자풀 연구, 종자 증식 센터

라고 적혀있습니다.

 

 

-알팔파 모습

 

날씨가 점차 따뜻해지면서

알팔파가 한 달 전보다 눈에 띄게 많이 성장한 모습이 보였는데요,

 

 

코피아 몽골 센터의 지원을 받아 축산연구소에서 재배하고 있는 시험포(4ha)

알팔파의 재식거리를 30cm로 하여 그 전에 15cm 간격으로 재배하였던 알팔파보다

영양분 분배가 잘 되어 성장 속도가 빠른 것으로 보였습니다.

 

 

 

-과제 진행상황 설명

 

또한 작년 같은 시기 알팔파의 초장(17~18cm) 대비 올해 알팔파 초장

(25cm)이 길고 비교적 일정하게 난 상태였습니다.

 

가을이 되면 알팔파가 약 50cm 정도로 성장하며, 7월 말 개화하고 9월 중순 채종한다고 하는데요, 작년에는 가뭄이 있어 수확량이 많지 않았으나

올해 강수량이 많다는 예보가 있어 수확량이 많을 것이라고 예상된다고 합니다.

 

 

 

-과제 진행상황 설명_2

 

 

데지드마 박사님은 이번에 알팔파 주변의 잡초를 제거하기 위해

농약을 구매해서 살포하였다고 하셨는데 효과가 없어 인력을 구해 다시 제거해야 하나,

인력을 구할 비용 또한 마땅치 않다고 안타까움을 표하셨습니다.

 

채종기도 없어 손으로 채종 작업을 한다고 하는데, 이러한 면에서 우리 코피아 센터가 어떤 지원이 가능할지는 모르겠지만 알팔파 과제 담당자로서, 농업 전공 학생으로서 가능한 도움을 주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알팔파사료작물 과제 담당자로서 알팔파가 영양분을 많이 갖고 잘 자라

많은 축산 농가들에게 알팔파 종자가 보급되고,

이것을 통해 가축의 생산성 또한 향상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태그:kopia, RDA, 농진청, 농촌진흥청, 몽골, 몽골센터, 코피아, 코피아 몽골센터, 농업기술개발, kopia몽골, kopia몽골센터, 사료작물, 사료작물알팔파, 알팔파, 종자증식, 채종, 다르항

조사료와 영양개선을 통한 양육과 양모의 생산성과 유전적 가치개선 : 과제 현황 파악 출장 (160613)

Posted by kopia_mongolia
2016. 6. 28. 12:14 완료 사업/양육·양모

안녕하세요. 코피아 몽골센터 박정은입니다.

 

오늘은 조사료와 영양개선을 통한 양육과 양모의 생산성과 유전적 가치개선사업에 대하여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총 사업기간은 2014620176월 까지 3년에 걸친 사업으로, 국립 몽골농업대학 소속인 축산연구소 (RIAH : Research Institute of Animal Husbandry)와 협력 사업을 진행 중입니다.

 

조사료와 영양개선을 통한 양육과 양모의 생산성과 유전적 가치개선사업은

 

목초지의 알팔파, 호밀, 귀리, 야생호밀, 보리의 건초의 품질과 성분 분석

혼합 사료를 어린 양에게 급여, 고기수량과 품질 변화 및 지방과 고기의 비율 측정

양육 및 양모 생산이 가능한 양의 유전가치에 대한 연관성, 사료 영양, 성장과 생산성 변화에 대한 연구

목축업자들에게 지식과 기술 제공, 조직훈련 및 광고를 통한 지식 전파

 

위 4가지를 목표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2016613일 현장점검 및 과제 진행상황 파악을 위해 Darkhan uul Aimag Khongor Soum으로 출장을 갔습니다. 이곳은 축산연구소의 시험포장 (60ha) 이며 현재 사료작물 우수품종 종자증식 시범사업또한 축산연구소의 시험포장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시험포장에서 현장 설명 중.

 

201671일부터 보리, 귀리 등을 파종하여 81520일에 수분상태를 확인 후 길이가 한 뼘 정도 되었을 때 수확을 할 예정입니다.

 

 왼쪽이 보리, 오른쪽이 귀리 

 

작년에는 총 20ha에서 1,400 더미를 수확하였으며, 2015년 연구 결과로는 8월에 영양가가 가장 높았습니다.

(보통 7월에 영양가가 높지만, 15년에는 날씨의 영향으로 다른 결과가 도출됨. 정확한 결과를 위해 한 번 더 실험을 진행 중에 있습니다.) 그리고 수확하고 일정량은 실험용양을 비육하는데 이용하게 됩니다.

 

 2015년 연구 결과 자료 중 '목초지 영양 조사' 

 

 

현장점검이 이루어진 날 (2016613) 기준으로 5일 이내로 20ha에 울타리를 설치한다고 하였지만 몽골의 큰 축제인 나담 축제 (201671115) 이후로 변경되었습니다. 아래의 사진이 나타나는 곳에 울타리를 설치할 예정입니다.

 

 RIAH 시험포장 60ha 중 20ha 울타리 설치 예정지

 

현재 양육·양모 사업에는 50여 마리의 실험용양을 사육하고 있으며, 실험용양은 Selenge Aimag Saikhan Soum Nomgon Bag에서 방목 중입니다. 겨울에는 아래와 같은 축사에서 생활하지만 겨울이외의 날에는 축사에 들어오지 않고 항상 방목상태로 생활하게 됩니다. 그리고 숫양은 내보내고 암양만 안에서 사육합니다. 이 시설은 1,200마리를 수용합니다.

 

   

 1,200마리 수용가능한 양 겨울용 축사 (외부 및 내부)

 

실험에 이용되는 양은 Orkhon 품종으로 보통 몽골양보다 도체 시 육량이 30% 이상 많으며 양모도 3.54kg (보통 34) 생산, 가죽도 두껍고 적응력도 뛰어납니다.

(여기서 말하는 적응력이란 몽골은 날씨변화가 심한 곳인데 겨울에서 봄으로 변화할 때 날씨변화에 잘 적응할 수 있는가를 이야기합니다.)

 

 실험용 양 'Orkhon'품종 방목 현장

 

그리고 실험용 양들은 2016624일 털깎기 (전모)를 실시하였습니다. 다음번에 털 뭉치에서 벗어난 양들을 만날 수 있겠는데요? :-)

 

 작년에 현장을 방문했을 때보다는 깨끗한 장소와 관리가 되고 있었으며, 푸른 초원을 다니는 양들을 보고 현장을 체크할 수 있어 즐거웠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계획과는 다르거나 조금 느리게 진행되는 점은 고쳐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도 축산연구소는 열심히 하려는 의지를 보이고 있으며, 내년에는 소에 대한 연구를 원하고 있어 좋은 계획으로 내년에 만난다면 몽골 축산업에서도 더 큰 발전이 되리라 생각됩니다.

 또한, 몽골은 날씨에 대한 영향을 많이 받는 국가입니다. ·축산업에 있어서 물은 귀한 존재이기에 몽골 땅에도 많은 축복이 내려, ·식물이 잘 자랐으면 하는 마음이 가장 크고, 아직도 몽골이란 나라에서 축산을 볼 수 있음이 너무나 즐겁고 행복합니다.

많은 분들도 몽골에서 이 따뜻함과 여유로움을 느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양육양모 과제 담당자와 KOPIA 몽골센터 직원들의 단체사진 촬영으로 6월 13일 양육양모 과제 일정은 끝이 났습니다!

 

태그:kopia, RDA, 농진청, 농촌진흥청, 몽골, 몽골센터, 코피아, 코피아 몽골센터, 농업기술개발, kopia몽골, kopia몽골센터, 출장, 축산, 양육양모, 협력사업, 협력과제, 시험현장,

       축산연구소, RIAH

사료작물 우수품종 종자증식 시범사업 : 다르항 사업장 방문(160510)

Posted by kopia_mongolia
2016. 5. 26. 16:41 완료 사업/알팔파

안녕하세요 코피아 몽골 센터 이수현 연구원입니다.

저희 코피아 몽골 센터는 또 다른 알팔파 과제사업장 다르항올 홍고르솜에 방문하였습니다(5. 10)

 

 

다르항(Darkhan, 몽골어: Дархан)은 몽골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로 다르항올 주의 주도며 인구는 74,738(2010년 기준)이다. 도시 이름은 몽골어로 "대장장이"를 뜻한다.

[출처] "다르항", 위키백과

 

 

다르항은 울란바토르에서 약 230km떨어진 곳으로 약 3시간을 알팔파 과제책임자이신 하니만(Ikhanimkhan) 과장님과 동행하여 다녀왔습니다.

 

-알팔파 채종포(4ha)

 

다르항 알팔파 과제사업장을 처음 방문했는데요, 60ha의 부지를 사용하여 연구하고 있고 그 중 4ha에 저희 알팔파 시범농장을 조성하였습니다.

 

 

바람이 굉장히 많이 부는 날씨에도 불구하고 데지드마 박사님이 직접 나와서 알팔파를 관리하고 계셨습니다.

 

다르항 알팔파 과제사업장 또한 러시아품종과 몽골 품종을 교배한 Burgaltai 품종을 파종하였습니다.

올해로 2년이 되었으며 아직 1번의 채종만 이루어진 상태이고 

지난번에 Burgaltai 품종에 대해서 자세히 못 들었는데 이번에 품종에 대한 자세한 얘기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Burgaltai' 품종은 러시아의 품종의 높은 체고와 환경적응성이 높은 몽골의 품종을 교배한 것으로 처음에는 중국과 캐나다 품종을 시험해보았는데 모두 처음엔 잘 되는 듯싶다가 다음해에는 잘 안자라는 모습이 보였고, 겨울철에 관리를 따로 해줘야 하는 중국과 캐나다 품종과 달리 이 'Burgaltai(1968)' 품종은 내한성이 높아 따로 관리를 해주지 않아도 잘 자라 몽골에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하여 채종포에 이 품종을 이용하였다고 합니다.

 

 

 

-알팔파 모습

 

현재는 알팔파가 발아한지 약 10일 정도 되어 작지만 8월쯤에는 40-50cm까지 자란다고 합니다.

 

-알팔파에 대해 설명하는 데지드마 박사님

 

 

사료작물 알팔파에 대해 관심을 갖는 농가들이 많다고 하는데 아직 1차 채종만 마친 상태라 보급하기 미미한 단계이고, 데지드마 박사님의 목표는 알팔파를 다량채종 후 농가들에게 보급하여 가축들의 영양을 개선시키는 것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

 

510일 알팔파 과제사업장 방문을 마치고 513일에 데지드마 박사님과 가축사료작물협회장이신 나상바트씨가 코피아몽골센터에 방문하셨습니다.

 

가축사료작물협회는 사료작물 영양분과 목축업을 지원하고 자연환경 복원 업무를 하며 KOPIA에서 지원받아 아르항가이 이흐타미르 솜에서 알팔파 과제를 진행하고 있다고 하셨습니다.

 

데지드마 박사님은 계속적으로 알팔파를 연구 중이라고 하셨는데요, 2013년까지 몽골 정부에서 알팔파 연구를 지원 받았으나 그 후 지원이 끊겨 그 후 직접 지원을 알아보다가 KOPIA센터와 연결되어 지원받으셨다고 합니다.

 

과제 관련 외에도 여러 가지 몽골 농업의 현지상황에 대한 안타까움과 바람에 대해서도 말씀하셨습니다. 현재는 농업에 대한 지원이 거의 없고 개발 후에 직접 실현되는 것이 아니라 거의 자료로 보관만 되는 것에 대해 안타까워 하셨고 지금은 가축과 사료작물 분야가 분리되어 있고 다른 사업과의 연계성이 많이 떨어지는데 가축과 사료작물이 통합이 되고 다른 사업과의 연계가 잘 되었으면 하는 바람을 나타내셨습니다.

 

또한 현재까지 연구한 내용을 발표할 기회를 갖고 싶다는 의사를 표력하여 KOPIA센터에서 대상자를 선정해 기회의 장을 만들어주었으면 하는 바람을 나타내었습니다.

 

 

이번에 박사님의 말씀을 듣고 몽골 농업에 있어서 국가의 지원이 현저히 부족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농업이 어떻게 보면 가장 근본적이고 없어지면 안 되는 것 중 하나인데 갈수록 농업에 대한 지원이 적어진다는 것이

안타까웠습니다.

국가에서 농업의 중요성을 깨닫고 지원정책을 강화해 연구원들이 마음껏 연구하여 역량을 펼칠 수 있는 농업의 장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울란바토르 가는 길 풍경

 

 

 

 

태그:kopia, RDA, 농진청, 농촌진흥청, 몽골, 몽골센터, 코피아, 코피아 몽골센터, 농업기술개발, kopia몽골, kopia몽골센터, 다르항, 협력사업, 협력과제, 출장, 시험현장, 알팔파,

       사료작물, NA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