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PIA 몽골 센터 제 6 사업 ‘우수 밀 품종의 증식 및 보급종 생산 시범사업’ 전문가 초청활용 현장 방문 및 중간진도관리

Posted by kopia_mongolia
2019. 9. 6. 10:11 진행 사업/우수 밀

지난 2019년 8월 13일~8월 16일 KOPIA 몽골 센터(소장 최만영)에서는 '우수 밀 품종의 증식 및 보급종 생산 시범사업'과제에 대한 중간진도관리와 함께 전문가 초청을 활용한 현장 방문을 하였습니다.

 


1. 협력기관(IPAS) 방문 및 중간진도 현황 발표

8월 13일

먼저, 최만영 소장님, 정연근 박사님 외 11명이 협력기관(IPAS)을 방문하여 중간진도 현황 발표를 들었습니다. 2년간 꾸준한 사업진행을 통해 IPAS 내 종자 증식량이 2배로 증가하는 성과가 나왔습니다. 그리고 몽골의 건조한 기후조건으로 인해 *추파성을 가지고 있는 한국의 밀 품종의 경우 몽골 적응 품종과 비교해 생산량이 낮은 것으로 판단 되었습니다. 현재 IPAS 채종포에서는 127ha의 면적에서 종자 증식을 하고 있으며, 4품종 6농가 보급을 통해 종자 증식 및 보급종을 생산한다고 전하였습니다. 이에 맞추어 지역별 농가에서는 전문가와 상의해 지역 특성에 맞는 품종을 보급받는 등 지도를 받고 있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추파성 : 가을에 씨앗을 뿌려 겨울의 저온기간을 경과해야만 개화 및 결실을 하는 식물의 성질, 주로 밀, 보리, 귀리등이 이러한 특성을 가진다.

출처 : 두산백과


2. 협력사업 참여 농가 현장 방문 및 지도

8월 14일

이튿날, 협력사업에 참여하는 첫 번째 농가에 방문하여 국립식량과학원 밀 품종 육성 및 고품질 재배기술 전문가 정영근, 김경훈 박사님과 함께 현장지도를 가지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품종별 지역 적응성 시험 후 기존의 Darkhan-144보다 Darkhan-131이 재배 지역에 적합하며, 우수하다고 판단하여 현재, 830ha 면적에서 재배하고 있으며, 조생종 Darkhan-166(Arvin)도 재배하고 있다고 하였습니다.

만생종인 Darkhan-131은 이삭길이가 타 품종과 비교하였을 때 길어 수확량이 많고 단백질 함량이 17~18%로 제분용으로 적합하다는 의견을 전달하였으며, *무망종 품종을 재배하는 데도 불구하고 까락이 있는 개체들이 발견되는 것을 보아 유전자 순도가 떨어지고 있으므로, 품종별 채종포를 격리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습니다.

무망종 : 벼알에 까락이 없는 품종으로, 현재 국내에서 육성 보급되고 있는 품종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출처 : 약과 먹거리로 쓰이는 우리나라 자원 식물(저자 : 강병화 교수)


3. 협력사업 참여 농가 현장 방문 및 지도

8월 15일

마지막으로, 협력사업에 참여하고있는 또하나의 농가를 방문하여 전문가 분들의 기술 지원을 가졌습니다. 이 곳에서는 Darkhan-144를 536ha에 재배, Darkhan-166(Arvin)은 56ha에 재배하고 있고 특히 이 곳의 농가는Darkhan-166(Arvin)을 선호해서 재배하였으나 현재 재배지역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하였습니다. *분얼이 잘 일어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지만, 완충지대가 넓어 병해충 발생확률이 낮기 때문에 종자 소독으로 충분히 병해충 방제를 할 수 있다고 전달하였습니다.

분얼 : 화본과식물(벼, 밀 등)의 땅 속에 있는 마디에서 가지가 나오는 것

출처 : 약과 먹거리로 쓰이는 우리나라 자원 식물(저자 : 강병화 교수)


끝으로

이번 현장방문을 통해 참여 농가들의 진행상황과 문제점들을 보다 명확히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지속적으로 진행된 사업이기에 품종별 지역 적응성 시험을 통해 특정 지역에 적합한 품종을 선발하여 생산량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 후, 지속적인 국내 초청 훈련을 통해 교육받은 밀 육종 기술을 적용할 것으로 계획되어 있으며, 밀 품종 중 녹병 저항성을 가진 품종에 대한 추후 연구가 더욱 필요할 것으로 보고하였습니다.

사업이 잘 진행될 수 있도록 시간을 내어 초청에 응해주신 정영근, 김경훈 박사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이번 중간진도관리를 통해 KOPIA 몽골 센터는 더욱 발전하는 모습을 보이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KOPIA 몽골 센터 연수생 강동석

몽골 울란바토르 주간 날씨(6월 24일 ~ 6월 29일)

Posted by kopia_mongolia
2019. 6. 24. 08:34 몽골 news/몽골 날씨

몽골 울란바토르 주간 날씨






출처: https://weather.naver.com






KOPIA 몽골센터 연수생 차민교

몽골 울란바토르 주간 날씨(6월 10일~6월 15일)

Posted by kopia_mongolia
2019. 6. 10. 08:34 몽골 news/몽골 날씨

울란바토르 주간 날씨

이번 주도 즐거운 한 주 되세요!!


출처:https://weather.naver.com

KOPIA 몽골센터 연수생 차민교

KOPIA 몽골센터 전문가 초청 세미나 개최

Posted by kopia_mongolia
2019. 6. 7. 10:39 진행 사업/다년생 사료작물 지역 적응 품종 보급

지난 530, KOPIA 몽골센터(소장 최만영)에서는 농촌진흥청 전문가 2명의 초청을 통해 한국 사료작물 품종의 적응 가능성 논의와 다년생 사료작물 재배와 초지 관리 기술교육을 위해 전문가 초청 세미나를 개최하였습니다.

 

주요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KOPIA 몽골센터의 협력사업 중 하나인 다년생 사료작물 지역 적응 품종 보급의 부담당자 Dejidmaa.Ts 박사님께서 먼저 발표를 하셨습니다. 박사님께서는 가축수의 증가와 사료생산의 감소에 따른 수입에 많이 의존하는 사료작물의 재배 필요성에 대해 중점적으로 말씀하셨습니다.

 

이어서 최기준 박사님은 한국 사료작물 품종 소개와 몽골 적용 가능성에 대해 발표 하셨습니다. 현재의 사료작물 품종의 현황과 몽골에 적용하는 방법을 설명하시고 신품종 종자 생산기술도 소개하셨습니다.

 

마지막으로 김기용 박사님은 다년생 사료작물 재배와 초지 관리기술에 대해 발표 하셨습니다. 초지를 이용할 경우 유용한 식물과 형성하는 방법, 더불어 초지 관리 및 방목에 대해서 설명하셨습니다.



전문가님들께서 전문가 초청 세미나를 통해 한국의 현재 사료작물 및 초지 기술을 소개해주시고 몽골의 도입방법 또한 제시해주어 사료작물 적응, 초지의 효율적 관리 방법 등 몽골 농업 발전을 위한 방향을 더 바르게 잡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전문가 초청을 통해 몽골의 농업 발전이 더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는 KOPIA 몽골센터가 되겠습니다. 다시 한 번 초청에 임해주신 김기용 박사님, 최기준 박사님께 감사를 전합니다.





KOPIA 몽골센터 연수생 차민교

 

KOPIA 몽골센터 박영호 지도사님 성과보고회

Posted by kopia_mongolia
2019. 6. 5. 10:30 알림판/센터 소식

지난 64, KOPIA 몽골센터(소장 최만영)에서는 전문가로 방문해 주신 박영호 지도사님의 성과보고회가 있었습니다. KOPIA 몽골센터 회의실에서 진행되었습니다.


 

지도사님께서는 지난 훈련농장 방문, 세미나 진행, 자체시험포 관리 지도 등의 성과를 발표하시며 몽골의 농업의 문제점, 기후에 적합한 농사법을 말씀하셨습니다. 또한 센터에 머물면서 느낀 점과 나아가야 할 방향도 함께 토론하셨습니다. 더불어 한 달 동안 센터 생활이 좋았으며 내일 출국에 대해 아쉬워 하셨습니다.


 

저희 KOPIA 몽골센터에서는 한 달간의 지도사님의 노고에 감사를 표하며 감사패를 제작하여 지도사님께 전달해 드렸습니다. 지도사님 덕분에 KOPIA 몽골센터는 농민들에게 한 층 더 가까운 지도를 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몽골의 농업은 한 걸음 더 나아가게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전문가 초청을 통해 얻은 정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몽골 농업에 한 단계 더 기여하도록 꾸준히 노력하는 KOPIA 몽골 센터가 되겠습니다. 끝으로 초청에 임해주신 박영호 지도사님께 다시 한 번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KOPIA 몽골센터 연수생 차민교

몽골 울란바토르 주간 날씨(6월 3일~6월 8일)

Posted by kopia_mongolia
2019. 6. 3. 08:53 몽골 news/몽골 날씨

울란바토르 주간 날씨

​날씨가 조금 추워졌네요

이번 한주도 좋은 한 주 되십시오!

출처:https://weather.naver.com

KOPIA 몽골센터 연수생 차민교

몽골 울란바토르 주간 날씨(5월 29일 ~ 6월 3일)

Posted by kopia_mongolia
2019. 5. 29. 16:02 몽골 news/몽골 날씨

울란바토르 주간 날씨





이번주는 늦게 올려서 죄송합니다ㅠㅠ

날씨가 왔다갔다 하네요!!!

출처:https://weather.naver.com



KOPIA 몽골센터 연수생 차민교


적은 눈으로 인한 가축농가에 우물 공급 필요 증가

Posted by kopia_mongolia
2019. 5. 21. 08:59 몽골 news/몽골 농업 현황

지난 51일 몽골 식품·농업 부는 현재의 상황에 대해 보고했다. 몽골의 가축은 작년에 비해 성장한 상태(가축 수:2018년이 2017보다 0.4% 증가/수출 1.8배 증가/수익:5.9%증가)이며 국내총생산(GDP)10.6%, 수출의 8.4%를 차지한다.

 

몽골의 겨울과 봄은 농업의 경우, 기후가 적합하지 않아 준비가 필요하다. 이번 겨울의 경우 기후가 비교적 따뜻했고 동시에 준비도 철저(전국적으로 89.1%로 측정되었음)했기에 어려움은 없었지만 눈의 양이 적어서 몇몇 아이막(Bulgan, Darkhan-Uul. Dornod, Dornogobi, Umongobi, Selenge, Sukhbaatar, Uvs, Khovd, Khuvshul, Khentii)에 가뭄이 왔다.

 

매년 육류 및 육류 상품 수출이 증가하고 있으며 2018년의 경우 총 7.04만 톤이 수출되었다. 이는 1.6억 달러 가치를 가진다. 정부는 외화를 벌어들이고 채광에 의존하는 경제를 중단하는 것이 목표로 하고 있기에 가축의 수를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이 중요하다(매년 수출 가축 수 목표를 두고 달성하는 중이다.2018년 기준 50만 톤 달성). 그러므로 이번 기후에 따른 가축농가에 우물 설치 및 물 공급은 필수적이다.

 

년 초에 어미 가축이 2970만이었지만 올해의 새끼 가축들은 2000만 밖에 추정되지 않는다. (현재 53.7%의 어미가축과 1560만 새끼 가축이 전달되어 기관에서 돌봐지고 있음). 정부는 작년 목표(2018)8000만 가축에게 물을 제공하는 것이었는데 올해도 그 목표를 유지하게 되었다. 현재의 우물 수로는 6650만 가축에게 제공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장관은 현재의 상황이 어렵다는 것을 표현했다.




참고문헌


A.Munkhzul,“Spring situations on livestock and sowing preparation reported”, The Mongolian Messenger, 2019.05.03






KOPIA 몽골센터 연수생 차민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