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KOPIA 몽골 센터 연말 성과평가회 개최

Posted by kopia_mongolia
2017. 12. 1. 22:57 알림판/센터 소식

  

  지난 1128KOPIA 몽골 센터(대표 홍성구)에는 2017년 연말 성과평가회를 국립몽골농업대학교(MULS) 행정동 회의실에서 개최하였습니다. 이번 연말 성과 평가회의에서 각 사업 담당자들은 1년 동안의 사업성과 및 2017년 완결사업 성과를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그리고 자문위원들은 그동안 달성한 사업 성과와 TCP(Technical Cooperation Project) Work plan을 비교하여 얼마나 목표치에 도달하였는지 또 본 협력 사업을 통하여 몽골 농업 기술 개발에 어느 정도 기여를 하였는지를 심도 있게 평가 하였습니다.

 

  이번 연말 성과평가회에서 작년과 다르게 개정된 운영규정 및 지침 따라 별도의 평가위원을 구성하지 않고 KOPIA 몽골 센터의 자문위원들이 평가위원 역할을 맡아 그동안 추진한 사업의 성과를 다양한 관점에서 평가를 해주셨습니다. 그리고 이번 평가회에서는 자문위원들의 평가한 성적을 바탕으로 하여 다른 사업에 비해 뛰어난 성과를 올린 사업에 대하여 우수 사업으로 선정하고 상금을 수여하기로 하였습니다. 이를 통하여 사업 담당자들을 격려하고 사업동기 및 사업 효율성을 고취 시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음은 이번 연말 성과 평가회의 일정표입니다.

 

  끝으로 이번 연말 성과평가회에 참석하여 소중한 조언과 냉철한 평가해주신 자문위원들과 몽골 농업 기술 개발을 위하여 여름내 현지 사업장에서 뜨거운 땀방울을 흘린 사업 담당자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이번 연말 성과 평가회의에서 나온 소중한 조언 및 평과 결과는 2018KOPIA 몽골 센터 운영에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KOPIA 몽골 센터 연수생 김진용

 

태그 : KOPIA, kopia몽골, 연말, 성과, 평가회, 2017, , , 알팔파, 지도교육, 몽골 농업

 

KOPIA 몽골센터 선임연구원 5기 몽골 도착 및 실습 계획 발표

Posted by kopia_mongolia
2017. 11. 22. 10:40 알림판/센터 소식

 

 지난 11월 1일 KOPIA 몽골센터(대표 홍성구)에서 근무하게 될 선임연구원 배민경이 오후 4시 몽골에 도착하였습니다.

  지난 2015KOPIA 몽골센터에서 연수생으로 근무하였고, 이번엔 선임연구원으로 근무를 하게 되었습니다. 이곳 KOPIA 몽골센터에 다시 근무하게 된 과정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자 합니다. 연수생으로 지내면서 많은 것을 경험하였고,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한국의 농업기술에 대해 자부심을 느꼈던 연수생 생활이었기에 조금 더 적극적으로 한국의 농업 기술에 대해 알리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혹시나 라는 생각으로 농촌진흥청 채용공고 게시판을 보게 되었습니다. 마침 몇 개의 나라에서 2017년 하반기 선임연구원을 다시 모집하였고 그 중에 몽골이 있었습니다. 짧은 기간 동안 서류와 면접까지 준비해야했기에 당시에는 합격을 하지 못할 것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지만 합격하게 되어 이렇게 다시 KOPIA 몽골센터에서 근무 하게 되었습니다.

 


  111일 공항에 사람이 많을 것 같아 걱정이 되어 일찍 공항에 도착하였지만, 다행히 사람이 많이 없어서 일찍 수화물을 맡기고 비행기를 탈 수 있었습니다. 몽골로 오는 비행기 안에 몽골에 사는 한인들이 많이 있어서 한국으로 가는 비행기인가라는 착각이 들기도 하였습니다. 짐을 찾고 나오니 홍성구 대표님과 한소예 선임연구원, 김진용 연수생이 마중을 나오셨습니다.

  도착한 다음날인 112일은 외국인 등록 및 거주 등록을 위해 건강검진을 하였고, 몽골에서 사용할 핸드폰 유심 또한 개통을 하였습니다.

 113일 실습계획을 발표 하였으나, 부족한 점이 많아 118일 다시 발표를 하게 되었습니다. 선임연구원으로써 KOPIA 몽골센터의 발전에 어떻게 기여할지에 대해 추가하여 발표를 하였습니다. 대표님과 선임연구원, 연수생 그리고 현지직원들로부터 피드백과 조언을 받았습니다.  KOPIA 몽골센터의 홍보 매체를 티스토리 블로그, 네이버 블로그, 페이스북에서 인스타그램을 추가하여 다양한 매체를 통해 KOPIA 몽골센터를 알릴 계획입니다. 몽골 화훼 산업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기에 몽골에서 어떤 화훼류가 소비 되고 유통되는 지에 대해 조사할 계획입니다.




 앞으로 KOPIA 몽골 센터와 선임연구원 발전에 많은 기대를 해주시길 바랍니다.


KOPIA 선임연구원 실습계획.pdf



KOPIA 몽골센터 선임연구원 배민경

 

2017년 한가위 대잔치 행사 참석

Posted by kopia_mongolia
2017. 10. 6. 16:59 알림판/센터 소식

 

  지난 104KOPIA 몽골 센터(대표 홍성구)에서는 민족 대 명절 추석 맞아 서울레스토랑에서 몽골한인회가 개최하는‘2017년 한가위 대잔치행사에 참석 하였습니다. 몽골에서는 평일임에도 불구하고 오송 주 몽골 대한민국 대사, 몽골 한인 단체장들과 한인 동포들이 참석하여 행사장을 꽉 채웠습니다.

 

  이번 한가위 추석 행사에는 몽골한인여성회에서 전과 송편 등 다양한 명절음식이 준비하였습니다. 행사 전날 몽골한인여성회에서는 총 9시간 동안 명절 음식을 준비했다고 합니다. 정성이 들어간 만큼 정말 맛있는 음식이었습니다. 이렇게 정성 가득한 명절음식을 먹으니 몽골에서는 느끼기 힘들었던 풍성한 한가위 분위기를 느낄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번 한가위 대잔치에서는 행운권 추첨과 동포 노래자랑이 열렸습니다. 동포 노래자랑에는 흥 많은 한국인답게 많은 한인 동포들이 참여하였습니다. 대상은 2016년에 이어날 봐, 귀순을 부른 후레대학교 임재민 교수가 1등을 차지하여 온수기를 상품으로 받았습니다. 그리고 대사님과 한인회장님의 노래로 행사장의 분위기는 더욱 더 뜨거워졌습니다.

동포 노래자랑에 이어 진행된 행운권 추첨 행사에서는 인천~울란바토르 항공권과 150만원 상당의 세탁기 등 많은 상품이 준비되어 있었습니다. KOPIA 몽골 센터는 선진호텔 숙박권과 라면 1박스에 당첨되었습니다. 항공권과 세탁기 당첨을 기대하고 있었던 상황이여서 내심 아쉬웠지만, 호텔 숙박권과 라면 한 박스 덕분에 몽골에서 풍성한 한가위 기분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한국의 경우 이번 추석 연휴는 최장 10일의 긴 연휴라고 합니다. 하지만 KOPIA 센터는 운영 규정상 정상 업무일이기 때문에 명절 분위기를 느낄 수 없었지만, 행사장에서 나와 마주친 쟁반같이 둥근 달과 한인회에서 준비한 한가위 대잔치 덕분에 몽골 땅에서도 넉넉한 추석 분위기를 느낄 수 있었습.

  끝으로 행사준비 때문에 고생하신 몽골 한인회 관계자 분들에게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KOPIA 몽골 센터 연수생 김진용


 

 

 

태그 : KOPIA, kopia몽골, 추석, 한가위, 대잔치, 울란바토르, 서울레스토랑, 몽골한인회, 농진청

 

 

2017년 KOPIA 몽골 센터 제 2차 자문위원회 개최

Posted by kopia_mongolia
2017. 10. 5. 12:53 알림판/센터 소식

 

 

 

 

  지난 2017928KOPIA 몽골 센터(대표 홍성구)에서는 2017년 제2차 자문위원회를 개최하였습니다. 이번 자문위원회는 지난 413일에 개최된 운영위원회 다르게 KOPIA 센터 운영 규정에 따라운영위원회에서자문위원회로 잘못된 명칭을 변경하여 진행되었습니다.

다음은 이번 KOPIA 몽골 센터 2차 자문위원회에 참가하신 자문위원 명단 및 행사 일정표입니다.

 

소 속

직 위

성 명

KOPIA 몽골 센터

대표

Hong Seong-Koo(위원장)

몽골생명과학대학교

부총장(과학연구)

Gantulga(공동위원장)

Makhmarket

대표이사

Bolor

LB Partners

대표변호사

Lim Tae-Seo

Bizcon LLC

대표이사

Otgonbayar

MNB 국영방송국

뉴스 편집장

Tsend

몽골 식량농업경공업부

축산정책관리국장

Choi-ish

주몽골 대한민국대사관

상무관

Park Heon-Jin

 

구 분

일시

안건

개회사

15:30~15:33

개회사

15:33~16:00

경과 보고

- 규정 개정, 센터 이전, 중간진도 관리

협의안건 1

16:00~16:20

2018년 협력사업 추진 사항

협의안건 2

16:20~16:40

2017년 성과평가회 개최()

 

16:40~16:50

Coffee break

종합토론

16:50~18:00

KOPIA 몽골 센터 발전 방안

 

 

 

  이번 자문위원회의에서는 2017630일 개정된 KOPIA 센터 운영 규정 및 자문위원회 역할에 대한 설명과 KOPIA 몽골 센터 이전의 추진 배경 및 경과보고, 2017년 협력사업 중간 진도관리 결과 보고를 하였습니다. 그리고 2018 신규 협력사업 제안서를 검토하고, 2017 협력사업 성과보고회 개최 계획안에 대하여 자문위원들과 협의를 진행하였습니다. 각 자문위원들은 새롭게 추진될 2018년 신규 사업 제안서 중어떤 사업이 조금 더 몽골 농업 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인지성과 평가를 어떤 기준으로 실행할 것인지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교환 하였습니다.

 

             

             

 

 

 

  끝으로 바쁘신 와중에도 자문위원회에 참석하여 다양한 의견을 내주신 8명의 자문위원분들에게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그리고 이번 2차 자문위원회를 통하여 도출된 협의 결과는 KOPIA 몽골 센터의 운영 및 업무에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KOPIA 몽골 센터 연수생 김진용

 

 

 

태그 : KOPIA, kopia몽골, 자문위원, 회의, MULS, Makhmarket, LB parters, MNB, 농진청

 

 

2017 한국 농식품 박람회 참석

Posted by kopia_mongolia
2017. 9. 19. 08:59 알림판/센터 소식

 

  지난 914KOPIA 몽골 센터(대표 홍성구)에서는 ‘2017년 한국 문화 관광주간을 맞이하여 진행되는 한국 농식품 박람회에 참석하였습니다. 본 박람회는 한국 대사관 옆 몽골 상공회의소 1층 컨벤션 홀에서 진행되었습니다. 행사장내에는 여러 지자체들의 부스가 설치되어 있었고, 각 부스에는 각 지방의 농산물과 특산물을 이용한 가공품을 홍보 및 전시하고 있었습니다.

 

 

  이번 박람회에 참석한 여러 지자체 중 논산시는 논산의딸기대신 홍삼 제품을 홍보하고 있었습니다. 평소에 논산에는 훈련소와 딸기가 가장 유명한 줄 알고 있었지만 이번 박람회를 통해서 논산에서 생산되는 고품질 홍삼에 대해서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경기도 안성시에서는 안성의 쌀과 안성 쌀과 현미를 섞어 만든 고소한 누룽지와 달콤한 배 즙 등의 제품을 전시하고 있었고, 또 전시장에서는 홍보중인 농식품을 맛볼 수 있도록 시식 행사도 진행하였습니다. 몽골에서 맛좋은 한국 농식품을 먹으니 저절로 고향 생각이 나기도 하였습니다.

이외에도 진안군, 제주시 등 여러 곳의 지차체가 참석하여 다양한 한국 농산물과 그 가공품을 몽골에 널리 알리는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그리고 행사장 앞에 설치된 무대에서는 사물놀이 공연을 통하여 우리 농산물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전통 문화까지 홍보하는 좋은 기회가 되었습니다. 또 같은 날 울란바토르 대학교에는 한식 요리 콘테스트대회가 개최되었습니다. 대회에는 한식을 좋아하는 많은 몽골인 들이 참가 하여 다양한 한식 요리를 선보였습니다. 이를 통해 한식에 대한 몽골인들 뜨거운 관심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박람회와 음식경연대회를 통하여 몽골인들 에게 한국문화를 알리고 또 안전한 한국의 농식품들이 몽골에서 소비되었으면 좋겠습니다.

 

 

 

 

 

KOPIA 몽골 센터 연수생 김진용

 

 

 

 

 

태그 : kopia, KOPIA, 코피아, 코피아 몽골, 농식품, 박람회, 관광주간, 한식, 특산물, 농진청

강원도농업기술원 국제심포지엄 지원·참석

Posted by kopia_mongolia
2017. 9. 13. 16:15 알림판/센터 소식

 

  지난 201797일 목요일 KOPIA 몽골센터(대표 홍성구)에서는 강원도농업 기술원이 개최한 강원도농원기술원 국제심포지엄에 참석하였습니다. 강원농업타운은 1994년부터 몽골 Tuv도와 교류협력을 시작하였습니다. 현재 Tuv도의 3개소에 몽골 자립영농 지원을 위한 농업기술 교육단지인강원도농업타운을 조성하고, 채소전문가를 파견하여 현장 기술지도 및 시설원예 분야에서 몽골 농업 발전에 이바지 하고 있습니다.

  이번 심포지엄에는 강원도농업기술원장, 강원도의원, 몽골생명과학대학교 부총장, 몽골 Tuv도 도지사 등 관련 인사들이 참석하여 몽골의 시설 농업과 원예농업에 대한 많은 정보를 교환하였습니다.

KOPIA 몽골 센터는 행사 지원과 함께‘KOPIA 몽골 센터의 운영성과 및 향후 계획을 발표를 하였습니다. 발표 후 몽골생명과학대학교 교수들과 몇 가지 질의응답을 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행사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행사 식순

10:00-10:30

개식사

10:30-11:20

강원도농업타운 운영성과 및 발전방안발표

11:20-11:45

강원도농업타운 운영 사례발표

11:45-12:05

‘Tuv도의 농업 현황 및 발전 계획발표

12:05-12:15

기념사진 촬영

12:15-13:30

점심식사 및 김치 담그기 행사

13:30-14:20

‘KOPIA 몽골 센터 운영성과 및 향후 계획발표

14:20-14:40

몽골의 채소 생산성 향상 및 유통 활성화 사업 추진 계획발표

15:00-15:20

몽골의 원예농업의 현황 및 개발 계획발표

15:20-15:50

Coffee break

15:50-16:40

토론 및 행사 종료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서 강원도농업타운의 15년 동안의 운영 성과와 몽골의 원예 분야에 대하여 좀 더 많은 정보를 알 수 있었고, 특히 오후에 진행된 발표를 통해 몽골 시설 농업의 현재 상황과 문제점 그리고 문제점 해결 방향과 몽골 농업 및 농산물 유통에 종사하는 전문가들의 직접적인 의견을 통하여 몽골 농업의 발전 방향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행사장 한편에는 강원농업타운에서 직접 재배한 수박, 딸기, 대파, 청양고추, 감자, 무 등 여러 가지 작물을 전시해 놓았습니다. 작물 하나하나에 강원농업타운의 직원들의 정성과 노력, 그리고 한국의 작물 재배 기술이 더해져 시중의 농산물과는 비교가 안 될 정도의 향과 품질을 자랑하고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한국의 우수한 농업 기술 및 농업 시설들이 몽골에 들어와 몽골에서 생산된 질 좋은 농산물을 만날 날이 멀지 않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점심시간에는 몽골 한인 여성회에서 김치 담그기 행사를 하고, 갓 담은 김치를 맛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여성회에서 만든 김치가 입에 맞았던지 한국인뿐만 아니라 많은 몽골 분들도 점심 식사 메뉴와 함께 김치를 곁들여 먹었습니다.

심포지엄 직후 KOPIA 몽골 센터에서는 홍보용 머그컵을 행사 참석자들에게 나눠주면서 KOPIA 몽골 센터를 알리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머그컵을 받아 들고 기뻐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보며‘KOPIA 몽골 센터도 몽골 농업 기술 개발을 통하여 몽골 농업 발전에 많은 도움 되었으면 좋겠다.’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KOPIA 몽골 센터 연수생 김진용

 

 

 

 

태그: KOPIA, kopia, 코피아몽골, 강원도농업기술원, 강원도농업타운, 농업기술, 심포지업, 국제심포지엄

 

 

 

몽골 현지 축산농가 겨울 축사 현황 및 월동대비 조사

Posted by kopia_mongolia
2017. 9. 8. 12:49 알림판/센터 소식

  지난 2017831() KOPIA 몽골 센터(대표 홍성구)에서는 기온이 급감함에 따라 몽골 현지 유목 축산농가의 월동 준비 실태파악 및 현황조사를 위해 Nalaikh 구에 위치한 현지 축산농가에 다녀왔습니다.

 

 

  2016년도 몽골 농업 통계(출처 : 몽골 통계청)에 따르면 총 인구 수가 306만명인 것에 비해 총 가축 수는 61.5 백만 두(4.1, 3.6, 27.9, 염소 25.6, 낙타 0.4 백만 두)로 조사되었습니다. 축산업은 몽골 농업의 92%를 차지하는 만큼 농업인들의 삶과 몽골 경제에 직결됩니다.

 

  그러나 몽골은 겨울이 되면 시골의 경우 기온이 최고 -50까지 떨어지며 11월부터 4월까지 장장 6개월 동안 영하권으로 아주 춥고 긴 겨울이 지속됩니다. 이러한 환경에도 불구하고 오랜 세월 유목이라는 전통방식을 고수해왔던 터라 체계적인 사양관리와 월동대비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또한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겨울축사를 보수하지 못하고 건초 등을 구입하지 못하는 농가들은 겨울 철 동·아사가 속출 하며, 폐사로 이어진 축산농가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게 되고 이후 악순환이 반복됩니다. 그러나 겨울 철 대비 및 동·폐사에 대한 몽골 정부의 지원은 아직 미비한 실정입니다.

 

몽골의 축산 농가들은 계절에 따라 1년에 23번 정도 이사를 합니다. 

 

 

봄 축사

봄은 가축이 분만을 하는 시기로 새끼 양과 염소 무리가 잘 먹고 살 수 있도록 봄 축사로 이사를 함

여름 축사

강가를 따라서 풀이 잘 자랄만한 장소를 따라 이동함

겨울 축사

주로 산으로 둘러싸인 곳을 선택하며 바람을 피할 수 있는 장소로 이사를 함. 몽골 축산 농가 중 과반수정도가 집집마다 겨울축사를 보유하며 가축 수에 따라 친척끼리 합동 축사를 짓는 경우도 있음.

 

  KOPIA 몽골 센터에서 조사한 축산 농가는 27년간 목축업의 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는 단 10마리의 소만 사육 중이었습니다. 월동준비는 보통 9월 중순부터 10월 초 까지 진행되며 건초와 함께 겨울 철 나트륨 공급을 위한 암염을 준비하고 관수시설 정비 및 겨울 축사 보수 등이 이루어집니다. 해당 농가는 보온 및 사료용 밀짚(500,000₮∼600,000/ton)과 사료용 건초(20Kg 한 묶음 당 5,500)를 구비합니다. 겨우 내 20kg짜리 건초를 150묶음 사용하며 겨울철 약 825,000의 비용이 든다고 합니다.

 

 

 

 

  몽골 축산 농가는 겨울철 가축의 동·폐사를 방지하기 위한 겨울축사를 보유합니다. 조사한 농가의 겨울축사의 전체 면적은 100m2(겨울 축사 75m2, 가축 우리 25m2)보온성 향상을 위해 가축 대변을 축사 지붕과 외벽의 빈 공간에 덧붙여 외풍을 막습니다. 또한 축사 바닥에 볏짚과 가축의 대변을 깔아 보온 유지합니다.

 

 

  2017630일자에 종료된 KOPIA 몽골 센터의 제 3번 협력사업인조사료와 영양개선을 통한 양육과 양모의 생산성과 유전적 가치 개선사업에서 겨울철 축사를 건설하고 건초급여와 사양관리를 시행한 결과 ·폐사율 0%, 298마리의 새끼 출산으로 250마리의 예상치 에서 쌍둥이의 출산으로 인해 150%의 출산율을 달성한 성과가 있습니다.

 

 

  최근 몽골 뉴스보도에 의하면 몽골 농민들의 겨울 축사가 한 곳에 장기간 머묾으로 인해 전염병이 우려되며 소독 및 이전의 필요성이 언급된 바 있습니다. 겨울철 몽골 환경에 맞는 사양 관리 기술 등을 보급함으로써 이러한 겨울 축사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것도 KOPIA 몽골센터의 역할입니다.

 

   KOPIA 몽골 센터에서는 2018년도 신규 협력사업으로 육소와 관련된 사업을 검토 중입니다. 이번 출장 후 KOPIA 몽골 센터에서는 몽골 농민의 소득 증대와 지속가능한 축산업이 발전 될 수 있도록 신규 협력사업 계획서를 신중히 검토하고 이 후 몽골 축산 농가의 어려움을 현장에서 청취하여 2018년도 KOPIA 몽골 센터 신규 협력사업 추진 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KOPIA 몽골 센터 선임연구원 한소예

 

 

태그 : 몽골, KOPIA, 코피아 몽골센터, 농촌진흥청, RDA, 축산업, 축산농가, 겨울축사, 몽골 농업

제 72 주년 8.15 광복절 기념식 참석

Posted by kopia_mongolia
2017. 8. 16. 12:54 알림판/센터 소식

 

 

 

  지난 2017 815KOPIA 몽골 센터(대표 홍성구)에서는 광복 72주년을 맞이하여 대암 이태준 선생 기념 공원에서 열리는 광복절 기념식에 참석 하였습니다. 더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몽골에서 활동하고 있는 많은 한인들과 가족들이 참여하여 함께 광복을 기념하는 뜻깊은 시간이었습니다. 특히 이번 광복절에는 문재인 대통령의 8. 15 경축사에서 항일 무력 독립 운동단체인 의열단으로 활동하시다가 몽골로 망명 후 몽골의 전염병을 근절시킨 의사 이태준 선생을 언급하여, 몽골에서 활동하고 있는 한국인으로서 긍지와 자부심을 느꼈습니다. KOPIA 몽골 센터도 몽골 농업 기술 발전에 많은 기여를 하여 이태준 선생처럼 몽골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단체로 발전해 나갔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 보았습니다.

 

 

 

 

 

 

 

 

  또 KOPIA 몽골 센터에서는 기념식 종료 후 KOPIA 몽골 센터 머그컵을 행사에 참석하신 분들에게 나누어 주었습니다. 처음에는 총 108개의 머그컵을 준비 하여 혹시 컵이 남으면 어떡하나라는 의구심이 들었지만, 오히려 준비한 컵이 부족하였습니다. 그리고 컵을 들고 기뻐하는 사람들과 빠르게 줄어드는 컵을 보며 안도감과 뿌듯한 마음이 들었고, 앞으로 이 컵을 보며 ‘KOPIA 몽골 센터에 많은 관심을 가져 주셨으면 좋겠다.’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기념식이 끝난 뒤 뜨거운 태양 볕에 몸은 조금 지쳤지만, 대한민국의 독립을 위해 노력하신 선열들의 피와 땀 그리고 눈물, 해방 후 눈부신 경제 성장을 이룬 많은 분들의 노력이 떠올랐고, 이에 다시 한 번 감사함을 느낄 수 있었던 하루였습니다.

 

 

 

 

 

KOPIA 몽골 센터 연수생 김진용

 

 

  태그: KOPIA, kopia 몽골 센터, 광복절, 몽골, 72 주년, 이태준, 농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