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원할 것만 같은 몽골에서의 생활이 끝났다. 연수생 6개월, 선임연구원 22개월의 기나긴 여정 끝에 전 지역을 그녀의 추억으로 불지르며 말이다.
1. 2년만의 공백, 다시 돌아 온 몽골
2015년 연수를 끝낸 뒤, 우연치 않게 선임연구원 추가 파견의 기회를 잡아 2017년 11월 그녀는 다시 KOPIA 몽골 센터로 파견을 나올 수 있었습니다. 모든 것이 새로운 센터에서 한 해를 마무리 지으면서 전적으로 센터의 협력 사업들과 시험포를 맡아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연수를 끝낸 뒤, 우연치 않게 선임연구원 추가파견의 기회를 잡아 2017년 11월 그녀는 다시 KOPIA 몽골센터로 파견을 나올 수 있었습니다. 모든 것이 새로운 센터에서 한 해를 마무리 지으면서 전적으로 센터의 협력사업들과 시험포를 맡아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2. 감자와의 사투, 그리고 연장
2년간 시험포를 관리하면서 보람찬 일도 있었지만 고비(사막 x)도 있었습니다. 첫해에 감자를 정식하고 수확까지 하는 보람도 느꼈지만, 2년 차에 접어들면서 무리를 한 나머지 허리 디스크도 생기는 등 연장에 대한 끝없는 고민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새로운 연구원분들의 격려와 도움으로 포장 관리보다는 센터 사업에 집중하면서 고민 끝에 파견 연장을 하게 되었습니다.
3. 끝맺으며
소설가 리처드 바크는 "작별 인사에 낙담하지 말라. 재회에 앞서 작별은 필요하다. 그리고 친구라면 잠시 혹은 오랜 뒤라도 꼭 재회하게 될 터이다."라고 말했습니다. 긴 시간을 보낸 몽골을 떠나보내는 아쉬움이 남겠지만 한국 농업을 이끄는 글로벌 인재로 한층 더 성장한 모습으로 이번에는 원예분야에서 전문가로 성숙하여 재회할 수 있기를 소망합니다.